경북도의 내년 농축산유통 분야 예산으로 1조351억원을 편성했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이는 올해보다 1071억원(11.5%) 증액된 것으로 본예산 규모로는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도는 코로나19 장기화 및 고령화 농촌인구 감소, 고유가, 물가상승 등으로 침체된 농촌경제를 살리고 농업 대전환을 추진하는데 중점을 뒀다. 민선 8기 도정홍보는 물론 농촌의 미래먹거리 창출을 위해 농업농촌의 4차 산업화로 기존 농업정책의 틀을 완전히 바꾸는 경북 농업대전환 사업을 대폭 반영한 것. 경북도는 올해 8월 각 분야 전문가 72명으로 구성된 농업 대전환 추진위원회를 출범했다. 위원회에서 도출된 역점 시책 사업으로 4개 분야 25개 과제, 2077억원을 채택했다. 이 중 경북 농정 대전환 사업의 대표 역점시책으로 디지털 혁신 농업타운 사업에 29억원을 편성했다. 전국에서 최초로 시행하는 신개념 농촌마을로 마을 전체를 영농 법인화하고, 공동영농체계를 갖춰 청년농업인과 기존농업인이 함께 공존하는 농촌 마을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10월 구미·문경·예천 3개 지역을 선정해 공동영농에 필요한 스마트한 시설 장비와 공동급식시설을 지원하고, 첨단 시설(시설원예, 곤충), 가공시설 장비, 청년 주거공간 및 브랜드개발 지원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 팜 조성사업에도 79억원을 편성했다. 청년농들에게 적정 임대료만으로 스마트팜을 경영하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사업이다. 농가 고령화 및 이상기후에 대응해 첨단 농업 인프라 구축을 통한 청년농 및 신규 창업농들의 인구유입을 위한 임대형 수직농장 조성사업에도 20억원을 편성했다. 청년 농업인 영농정착지원(90억원), 농촌 돌봄마을 시범단지(55억원),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설치지원(83억원), 농산물 생산유통기반구축지원(37억원) 사업도 추진한다. 삶이 활기찬 행복농촌 조성을 위한 농촌공간 정비사업에 129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농촌 주거지 인근 축사·공장 등 유해시설을 철거·이전해 농촌공간을 재조정함으로써 농촌을 농촌답게 꾸며보자는 사업으로 이번에 확대·편성했다. 올해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에 포항, 경주, 상주, 고령, 영양 등 도내 5개 지역이 선정돼 내년 한해에만 국비 100억원을 지원받는 사업성과도 거뒀다. 과수 농가의 농업환경개선을 위해 과실전문 생산단지 기반 조성사업에 193억원을 편성했다. 중소형 농업기계 공급지원 사업에는 48억원, 공익증진 직접 지불제에는 4079억원이 편성됐다. 또 수출규제 강화, 비료 가격 급등에 따른 식량 안보 확보와 농업인의 경영 부담완화를 위해 무기질 비료가격 인상차액 예산 168억원과 함께 농작물 재해보험료 지원 예산 180억원도 편성됐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2023년 농축산유통분야 예산 1조원 시대를 맞아 농업대전환을 통해 농업기초부터 새로운 성장 동력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지역만이 아닌 전국에서 인정받는 농도 경북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