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지난 8일 황남동 120호분 발굴조사 성과 현장설명회를 가지고 중심부인 120호분의 발굴성과를 공개했다. 황남동 390-1번지에 소재한 황남동 120호분은 사적 제512호 ‘경주대릉원 일원’ 지정범위 내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해있다. 3개의 봉분이 포개어진 고분 120호분은 지난 2018년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발굴조사에 착수해 2021년 주변부인 120-1호, 120-2호분 조사를 완료했다. 특히 120-2호분에서 금동관, 금동관모, 금제 태환이식, 유리구슬 가슴걸이, 은제허리띠, 은제팔찌, 은제반지, 금동신발 등 화려한 장신구를 착장한 여성으로 추정되는 피장자가 발굴돼 중심분인 120호분에 대한 기대와 궁금증이 컸었다. 120호분의 구조는 봉분지름 28m의 돌무지덧널무덤으로 시신을 안치하는 주곽과 부장품을 넣는 부곽으로 이루어졌다. 길이 380cm, 너비 165cm인 주곽에는 주검 칸과 부장 칸이 있으며, 주검 칸에는 무덤에 매장돼 있는 사람인 피장자를 동쪽으로 향하게 해 넣었고, 피장자 동측에 있는 부장 칸에는 청동다리미 및 각종 토기 등을 같이 묻혀져 있다. 신라문화유산연구원 측은 “주검 칸에는 목관 바닥에 납작한 철 덩이쇠를 깔고 주인공을 안치했으며, 가장자리에는 석단을 놓았다. 석단 하부에 목질 흔적이 남아 있어 주곽은 목곽임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부장품으로는 주검칸 피장자 머리부에서 세환이식 한 쌍, 그 아래 가슴부에서 5열의 남색유리구슬과 경옥제 곡옥 1점으로 장식한 가슴장식이 확인됐다. 그 아래 허리부에서는 한 개의 교구와 십여점의 과판과 수식, 드리개로 구성된 은제허리띠가 노출됐다. 다리 부근에는 정강이뼈로 추정되는 인골 흔적이 남아 있어 연구원 측은 무덤주인공은 신장 165cm 이상의 남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어 연구원 측은 “머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은제투조관식과 금동투조관모가 뒤집어진 채 확인됐는데 이는 주인공 머리에 관을 착장하지 않고 부장 칸 상부에 같이 묻은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외에도 금동제 말갖춤, 은장식 화살통, 운모, 각종 토기류 등 출토유물로 미뤄보아 축조시기는 황남대총 북분과 천마총 사이인 금관총 단계인 5세기 후반 경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금동관모나 은제관식 등과 같은 유물이 출토된 점으로 보아 귀족층의 무덤으로 추정된다”며 “봉분에 산모래가 사용된 점, 은제투조관식 및 은제허리띠의 투조 문양은 그동안 신라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양식인 점 등이 확인되면서 신라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학술적 가치가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덧붙였다. 한편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앞으로 추가 정밀 발굴 등을 진행한 뒤 내년 학술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