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023년도 당초예산안을 12조821억원으로 편성하고 도의회에 제출했다. 내년도 예산규모는 올해 당초예산 11조2527억원 보다 8294억원(7.4%) 증가한 규모다. 도는 내년도 예산안을 청년이 찾아오는 교육일자리·산업기반 마련, 기술중심의 농업대전환, 부모부담제로 완전돌봄체계 마련, 민생안정 및 도민안전 등 4대 중점과제에 우선순위를 뒀다. 또 올해 안에 외부차입금 1950억원 전액을 조기상환하고, 내년에는 차입금을 빌리지 않고 내부거래 600억원 조기상환 등 지방 채무를 지속적으로 줄여나갈 방침이다. 도는 ‘기업이 키워가는 성공경제’ 도약을 위해 4차산업 육성 및 기업투자유치 등에 총 1495억원을 투자한다. 백신산업전문인력양성센터 건립 등 바이오백신관련사업 152억원,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사업 등 4차산업 혁명시대 선도사업 661억원,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RIS) 혁신지원사업에 103억원을 편성했다. ‘보통이 성공하는 행복사회’ 구현을 위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일자리 및 기술중심 농업대전환 등에 총 5315억원을 투자한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150억원, 소상공인·중소기업육성기금 이차보전 127억원, 일자리 취약계층 취업기회 제공사업에 2982억원을 편성했다. 디지털혁신농업타운, 스마트 양식클러스터 조성사업,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사업 등 기술주도형 농·림·축·수산업 혁신 등에 1384억원을 반영했다. ‘세계와 함께하는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해 각종 문화시설 확충 및 관광자원 인프라구축 등에 총 4547억원을 투자한다. ‘모두가 안심하는 책임복지’를 위해 보육부담제로, 사회취약계층 보호, 안전경북 조성사업에 4조8856억원을 투자한다. 또 지방도사업 1401억원, 하천사업 1326억원, 도시재생뉴딜사업 728억원, 전기자동차보급1009억원 등 지속가능한 발전 토대마련에 1조4781억원을 투자한다. 이번에 경북도가 제출한 2023년도 예산안은 도의회 상임위원회의 심의와 예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2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등 민생경제 활력 제고와 도민안전 및 취약계층 지원을 강화하고, 첨단산업·농업대전환 등 미래성장동력 확보와 지역균형발전에 중점적으로 투자하겠다”며 “더 살기 좋은 경북, 살아보고 싶은 경북이 될 수 있도록 경북도정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