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시의원 선친묘소 진입로 포장공사에 대한 특혜여부를 가리기 위한 `진상규명위원회`는 지난 15일 경주경실련 회의실에서 당사자격인 시의원 두명과 관련공무원이 출석한 가운데 소명기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최근 시민들의 관심을 반영하듯 수많은 시민단체 대표들이 자리를 함께 했고 마치 국회청문회장을 연상케 하는 장면들이 연출되었다. 비록 부끄러운 사건을 통해서 억지로 이루어진 토론장이긴 했지만 이러한 토론이 가능하다는 것만으로도 경주의 미래가 결코 어둡지만은 않다는 기분 좋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시민여론이나 시민단체들의 요구에 높은(?) 양반들이 안하무인격으로 무시하고 뻔뻔하게 행동했던 전례에 비추어, 사건에 연루(?)된 시의원과 공무원이 스스로 시민단체를 상대로 해명에 나섰고, 또 시민단체 역시 이들의 반론을 경청했다는 점은 시민권익이 그만큼 신장되었다는 증거이며 풀뿌리민주주의가 한층 성숙된 모습이 아닐 수 없다. 사건관련자들이 모두 핵심을 피해 가는 변명일변도의 발언으로 진상규명에는 접근하지 못했지만 시민단체가 사건 당사자들을 직접 불러 경위를 따지고 소명기회를 주었다는 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일이다. 이번 소명기회를 끝으로 진상규명위는 자체적인 진상규명은 불가능하다고 보고 감사원감사를 요청함과 아울러 대검에 수사를 의뢰하기로 결정해 경주시나 시의회, 경주 검찰청은 믿을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한 시장 풀예산이 투명하게 집행되지 않아 이러한 문제가 야기되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향후 이 예산에 대한 감시, 감독을 시민단체들이 직접 관장할 것도 결의해 앞으로 선심성 예산을 얼마나 차단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사건을 통해 경주신문이 사건경위를 숨김없이 보도해 시민여론을 확산해 나갔고 시민단체 또한 발빠른 대응으로 경주시나 시의회가 시민여론을 무시하고 전횡해 왔던 시예산집행에 대한 행태에 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사건을 축소, 은폐해 어물쩍 넘어가던 관행에도 쐐기를 박아 앞으로 경주시나 시의회의 행보가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참여하는 성숙된 시민의식은 시민혈세가 특정인의 선심성 예산으로 아무렇게나 쓰여지는 낭비를 막고 투명하고 열린 시정을 앞당겨 살기 좋은 경주건설의 시금석이 된다. 시정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관심과 뜻 있는 시민단체에 가입, 지역대변인 경주신문의 구독에도 참여하는 것이 풀뿌리민주주의를 앞당기는 지름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