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은 수련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연못 등지에 심는 조경식물로서 식용 및 약재로 많이 심고 있는 다년생 수생식물이다. 뿌리는 물 속의 진흙에서 옆으로 길게 뻗으며, 원기둥꼴이고 마디가 많고 가을철에 끝부분이 굵어진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 1∼1.5m 정도의 길이로 물 위에 솟고 커다란 원형이며 백록색이고 엽맥이 사방으로 퍼진다. 잎의 가운데는 접시처럼 움푹 패여 물이 고이기도 하며 물에 젖지 않고 잎자루에는 짧은 가시가 있다.
꽃은 7∼8월에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며, 꽃대는 잎보다 더 높게 올라와서 꽃이 핀다. 10월에 열매가 갈색으로 익으며, 열매는 타원형이고 먹을 수 있다.
연꽃은 인도가 원산으로 한국·중국·인도 등 온대나 열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원래 이름은 연(蓮)이며, 하(荷)·연화(蓮花)·연자(蓮子)·연실(蓮實)·연밥 등으로 부른다.
연꽃은 더러운 진흙 물속에서 피어 나지만 항상 깨끗한 마음을 간직하는 꽃이므로 속세의 나쁜 환경에 물들지 않는 청정함에 비유되어 불교에서는 극락세계·극락정토를 의미하고 있으며 불교의 상징화로 여기고 있다. 극락세계를 달리 부를 때‘연방(蓮邦)’이라고 한다든지, 아미타불의 정토에 왕생하는 사람의 모습을‘연태(蓮胎)’라고 하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또한 부처님이 앉아 있는 대좌를 연꽃으로 조각하는 것도 이러한 상징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옛날부터 민간에서는 연밥의 씨주머니 속에 많은 씨앗이 들어 있기 때문에 연꽃을 다산(多産)의 상징으로 보았으며, 부인들의 옷에 연꽃의 문양을 새겨 넣는 것도 자손을 많이 낳아 번성을 기원하는 뜻이 있다고 한다. 사람의 이름에도 연(蓮)자를 많이 쓰는데, 남자는 불제자임을 가리키고 여자는 청정무구 또는 순결의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연꽃은 군자의 꽃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진흙 속에서 나지만 진흙에 물들지 않는다는 면에서 세속에 물들지 않는 군자나 고고한 선비를 표상해 왔다. 또한 연꽃은 환생이나 재생이라는 상징적 의미로 많이 사용되었다.「심청전」에서 심청이 인당수에 몸을 던졌으나 용왕에 의해 옥정연화(玉井蓮花)의 꽃봉오리 속에 옮겨져 다시 인간세상에 태어난다는 이야기 속의 연꽃은 환생을 상징한다. 꽃상여에 장식하는 연꽃은 재생과 부활을 상징하며, 저승으로 갈 때는 연꽃배를 타고 간다고 하는데 가는 이의 영생과 불멸을 기원하는 의미라고 한다.
연은 식용·약용·관상용으로 쓰이는데 특히 잎과 뿌리, 씨앗은 한방과 민간요법에서 약으로 이용되었다.「본초강목」에서는 연은 심신의 기력을 돕고 모든 병을 물리치며 이를 장복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음을 알지 못한다고 하였다.
우리 주변에 연지(蓮池)가 많이 있지만 경주 동남산에 있는 서출지의 연꽃이 여름철에 만개하여 이요당의 주변 경관과 함께 정말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