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출범으로 또 다시 혼란에 빠졌던 경부고속철도 경주경유노선문제가 기존의 노선대로 건설하겠다는 쪽으로 정리 되었다.
지난 19일 고건 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에서 1)현재노선이 최적이며 2)사업지연은 연간 2조5천억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3)노선변경은 7년 이상의 사업지연은 물론 4)경주·울산·포항권의 지역갈등만 초래하므로 당초계획대로 추진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이다.
재론의 여지가 없는 아주 당연한 일이기는 하지만 그나마 정부가 지금에라도 실상을 제대로 인식하고 어리석은 결정을 내리지 않은데 대해 안도하면서 한편으로 환영한다. 어쩌면 이것은 너무나 당연한 결과로 처음부터 재검토 운운은 말이 안 되는 억지에 불과했다. 경주경유 노선에 대한 문제는 지난 90년 노선이 확정된 이래 여러차례 공론화되어 시험무대를 이미 여러번 거친 사안으로 이론의 여지가 있을 수 없다.
김영삼, 김대중 등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취임할 때 마다 이 문제는 시비가 되었지만 쓸데없이 국론을 분열하고 지역간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등 갈등만 겪었을 뿐 결국은 원안대로 회귀하고 말았었다.
이번 경주노선에 대한 문제도 지난해 12월 노무현 대통령후보 부산지역 유세에서 ‘노선백지화 및 대안노선 검토’를 약속하면서부터 출발했다. 부산지역의 불교계와 환경단체 등 일부 세력들에 대한 표심을 고려해 그들의 요구사항인 ‘금정산, 천성산 통과 노선에 대한 전면 백지화’를 공약한 것이 그 발단이다.
1월 대통령 인수위가 노선 백지화를 주장하고, 3월 노대통령이 공사중단과 노선재검토를 위한 위원회 구성을 지시함으로써 경주노선에 대한 문제는 또 다시 도마에 올랐었다.
이들은 부산-대구간 노선을 직선화하고 대구-경주간 노선은 지선화 한다는 입장이었다.
따라서 경주 이남에 대한 모든 공사가 일체 중단되고 경주노선은 또다시 혼미에 빠졌었다. 6개월여 동안의 논란 끝에 나온 결론은 역시 원점이었다.
경제성, 공사기간, 추가비용, 지역갈등, 새로운 노선에 대한 환경문제 등 그야말로 소탐대실의 결과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었고, 이치를 뒤엎기에는 명분이 없었다.
부산에서 출발해 북한, 중국, 러시아를 경유해 유럽까지 이어질 대륙횡단 열차의 출발이 될 경부고속철도의 경주경유노선은 천년고도 경주라는 관광상품이 세계시장에 한발짝 가까이 다가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며 향후 국가경쟁력 차원에서도 마땅히, 조속히 건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