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이하 감시기구)는 월성원전 부지 내 고농도 삼중수소 검출 사건에 대해 민관합동조사단(이하 조사단)을 구성,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감시기구는 지난 2일 경주 더케이호텔에서 조사단의 활동을 위한 착수회의를 열고 운영규약, 조사 대상과 범위 등을 논의했다.
앞서 감시기구는 지난 1일 임시회의를 열고 하대근 조사단장(감시기구 부위원장)을 비롯해 경주시의회·감시기구·경주시·주민대표·전문가·시민단체 등에서 추천된 25인을 위원으로 조사단을 최종 구성했다.
조사단은 착수회의에서 월성원전 부지 내 지하수 및 토양의 삼중수소 누출에 대한 원인 규명, 기술검토, 검증 및 향후 관리대책 등을 수립하기로 했다. 또 사용후핵연료저장조 차수막 건전성(손상 여부 등) 관련 지질검토, 구조물·토목 설계, 시공 등에 대한 기술적 조사와 검증 후 향후 대책도 수립키로 했다.
월성원전 부지 기준 1km 내 지하수 및 토양의 환경방사능 영향 조사도 함께 실시한다. 조사단은 앞으로 6개월 간 삼중수소 검출 사건의 철저한 원인 조사와 향후 관리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매월 2회 정기회의를 열기로 했다. 활동기간은 필요시 연장하도록 했다.
조사단은 현장 확인과 함께 원자력·구조 분야와 지질 분야 전문가를 활용해 조사보고서를 작성하고, 주민설명회를 가진 후 최종보고서를 조사단 전체회의에서 검토 승인할 예정이다.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최종보고서에 수록된 조사결과를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반영 이행하도록 규약에 명시했다. 조사단의 진행상황은 감시기구 홈페이지, 소식지인 망원경, 언론보도를 통해 수시로 경주시민들에게 알릴 계획이다.
하대근 조사단장은 이날 착수회의에서 “조사단 활동을 통해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원인, 주변 환경으로의 방사능물질 유출 가능성 등에 대해 객관적인 조사와 향후 관리대책을 수립하겠다”며 “경주시민들의 불안감과 의구심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