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관련 조사단 구성을 두고 대립만 계속되고 있어 제대로 된 조사가 우려되고 있다. 경주시 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각각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에 나서기로 한 가운데 탈핵단체들도 두 기관의 조사단 구성을 믿을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어 누가 조사 결과를 내놓더라도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경주시 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는 이번에 ‘월성원전 삼중수소 관리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감시기구 부위원장을 조사단장으로 하고, 경주시의회·감시기구·경주시·주민대표·전문가·시민단체·규제기관을 포함한 총 27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는 것이 골자다. 그리고 조사위원에 원자력구조 분야, 지질, 지하수 등과 관련한 전문가 6명을 포함키로 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전원 민간전문가로 하는 ‘월성원전 부지내 삼중수소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조사단은 10명 이내로 대한토목학회, 한국콘크리트학회, 한국방사선학회 등 삼중수소 누출 관련 건설, 인체 영향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인사를 추천받아 구성하겠고 했다. 그러나 이들 두 기관의 입장에 대해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 등 시민단체는 원안위는 월성원전 삼중수소 문제가 대두되자 민간조사단을 구성해 조사하겠다는 것으로 이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으며 원안위는 조사를 지휘할 주체로서가 아니라 규제를 실패한 당사자로서 오히려 책임을 져야할 대상이라고 반발했다. 또 경주시 민간환경감시기구의 조사 역시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지금까지 원전과 방폐장 등을 둘러싼 문제는 결론이 나거나 결론이 나지 않아도 항상 지루한 논쟁의 연속이었다. 지금은 힘겨루기를 할 때가 아니라 정확하게 조사해 사실을 그대로 밝히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시민의 안전을 내세워 서로 대립한다면 순수성을 의심 받을 수밖에 없다. 지금은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사단 구성에 서로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