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천북면 소재 희망농원 발(發) 한센인들의 권익 향상과 마을환경 개선 등의 사업이 전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센인 단체와 간담회를 갖고 한센인들의 복지, 의료, 환경 등 인권 피해사례 청취와 권익향상을 위한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국한센총연합회(회장 이길용), 한국한센복지협회(회장 김인권)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한센인 마을의 슬레이트 지붕철거, 기념관 건립 등 의견을 제시하고, 특히 한센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기 위한 국민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은 지난해 10월 28일 경주시청에서 개최한 희망농원 환경개선 관련 현장조정회의를 언급하며, 전국 한센인 마을에 대한 실태조사와 문제해결에 나서기로 했다. 전현희 위원장은 “경북도지사, 경주시장, 포항시장 등 관계기관장이 함께 경주시 한센인 마을에 모여 고충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과거 정부와 사회의 무관심 속에 소외된 채 열악한 주거환경 등 인권유린을 당한 피해 현장을 보고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주 희망농원이 쏘아 올린 한센인들을 위한 희망의 불꽃이 결실을 맺고 다른 유사한 전국 한센인 마을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앞으로 추진하게 될 천북면 희망농원 환경개선사업을 계기로 사업을 전국 한센인 마을로 확대하겠다는 것. 국민권익위는 한센인마을의 복지·환경 문제 등 실태조사와 함께 지원이 시급한 마을은 긴급 복지지원, 관계기관 현장조정 등 우선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필요한 경우 제도개선 등에 나서기로 했다. 앞서 지난 19일 열린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는 ‘천북면 희망농원 환경개선 사업’이 공식 안건으로 올랐다. 국무회의에서 국민권익위는 희망농원 환경문제에 대한 보고와 현장조정회의 등이 이뤄진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추진을 위한 국비지원을 추가로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법적 근거가 없는 집단 계사 벽체·바닥철거와 관련해서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가 협의를 통해 해결방안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 현장조정회의를 시작으로 본격화 된 천북면 희망농원 환경개선사업이 국무회의까지 거치면서 사업 추진에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경주시 관계자는 “지난 40여년 동안 고질민원으로 남아 있던 희망농원 환경문제는 지난해 10월 국민권익위의 고충민원 현장조정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며 “정부 관계 부처의 국비지원이 원활이 이뤄지도록 협조 요청하는 등 경주 한센인 마을 문제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961년 정부는 한센관리사업 일환으로 국립 칠곡병원 한센병 퇴원자 240명 등을 경주시 천북면 북군리 일대에 정착시켰다. 이후 1979년 보문관광지구 개발 등 국책사업을 이유로 현재 위치인 신당3리 일대인 희망농원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당시 정부는 이들의 자활을 위해 무허가로 가구당 주택 1동, 계사 1동을 신축·배정했으나, 현재 집단계사의 슬레이트(발암물질) 지붕이 낡고 부식됐고 재래식 개방형 대규모 침전조 및 하수관로가 노후화돼 악취 등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