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치 이상 검출된 월성원전 삼중수소와 관련 ‘경주시 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각각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에 나서기로 해 시민들의 혼란이 가중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조사 결과가 어떤 식으로 나오든 결국 조사의 신뢰성을 두고 반발이 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특히 환경단체 등은 이들 조사단의 조사를 부정하고 있어 향후 조사 과정을 둘러싼 논란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경주시민간환경감시기구 ‘민관합동조사단’ 구성 의결 경주시 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이하 감시기구)는 지난 21일 제59차 운영위원회를 열고 ‘월성원전 삼중수소 관리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합동조사단(이하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키로 최종 의결했다.  앞서 감시기구는 지난 13일 열린 제41차 임시회의에서 민관합동조사단 구성과 관련한 안건을 의결한 바 있다. 민관합동조사단 구성안에 따르면 감시기구 부위원장을 조사단장으로 하고, 경주시의회·감시기구·경주시·주민대표·전문가·시민단체·규제기관을 포함한 총 27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키로 했다. 감시기구에 따르면 조사위원에는 원자력구조 분야, 지질, 지하수 등과 관련한 전문가 6명을 포함키로 했다. 규제기관 위원으로는 원안위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 1명씩 참여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한 상황이다.  조사기간은 6개월로 하고, 필요 시 연장이 가능하도록 했다. 감시기구 관계자는 “운영위원회의 의결사항을 토대로 민관합동조사단 위원을 추천받아 2월 1일 예정된 감시기구 임시회의에서 최종 확정 후 최대한 빨리 민관합동조사단을 발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감시기구는 지역주민이 배제된 원안위의 민간조사단 구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감시기구 관계자는 “경주시민이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가 조사를 진행해야 하며, 어떠한 정치적 이슈나 진영 논리에 희석되지 않기 위해 정부기관이 아닌 민간이 이번 조사를 주도해야 한다”며 원안위 등 정부기관은 민간이 주도하는 조사에 적극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원안위, 전원 민간전문가로 조사단 구성키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17일 전원 민간전문가로 하는 ‘월성원전 부지내 삼중수소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사단은 10명 이내로 대한토목학회, 한국콘크리트학회, 한국방사선학회 등 삼중수소 누출 관련 건설, 인체 영향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인사를 추천받아 이뤄질 예정이다. 단장은 원자력과 무관한 대한지질학회의 추천을 받아 위촉한다. 원안위와 원자력안전기술원은 행정 및 기술지원을 담당한다. 원안위는 관련 학회로부터 추천받은 전문가들로 조사단 구성이 완료 되는대로 명단을 발표하고, 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탈핵단체, 원안위·감시기구 조사단 구성 반발 이에 반해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 등 시민단체는 “원안위는 월성원전 삼중수소 문제가 대두되자 민간조사단을 구성해 조사하겠다는 것으로, 이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원안위는 조사를 지휘할 주체로서가 아니라 규제를 실패한 당사자로서 오히려 책임을 져야할 대상”이라고 비판했다. 또 경주시 민간환경감시기구의 조사 역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이들은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조사를 위해 국회와 전문가, 시민단체가 포함된 조사단을 구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민 혼란 가중 우려 높아져 이처럼 감시기구와 원안위가 각각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를 진행할 예정인데다 환경단체의 반발까지 나오면서 시민들은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경주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감시기구와 원안위가 각각 조사를 통해 내놓은 결과가 상반된다면 결국 신뢰의 문제로까지 이어져 향후 더 큰 문제로 번질 수 있다”면서 “똑 같은 결론이 나더라도 환경단체 또는 친원전단체 등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한 상황에서 현 상황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