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민화(愚民化)’, 백성을 바보 취급하거나 바보로 만드는 일은 비겁한 정치인들이 나라를 다스릴 때 암암리에 쓰는 수법이다. 국민을 개돼지로 아는 나라나 시민을 눈 아래로 깔보는 지자체, 주변 주민을 사람취급하지 않는 공·사기업들이 사람의 눈을 가려놓고 제 하고 싶은 대로 다 할 때 우민화라는 말이 적용된다. 대표적인 우민화는 일제강점기 일본이 우리 국민에게 가한 식민지사관과 우리말 금지, 내선일체사상, 대동아공영권 같은 것이 있고 해방 후 독재정권들이 사용한 3선 개헌과, 유신개헌, 독재 옹호 교육과 자본력을 앞세운 거대기업들의 독점자본논리가 모두 그에 해당한다.
지난 17일 이원희 씨의 페이스북에 오른 ‘한수원과 핵산업계의 워딩’에 관한 포스팅은 원전을 운영하는 정부와 한수원,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우민화’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예다. 이원희씨는 방사선 피폭사고, 누출사고 등의 표현에 대해 핵산업계가 사고라는 말 대신 ‘기능 이상’이라는 말을 쓴다고 꼬집는다. 노심손상 같은 중대하고 노심손상과 같은 아주 중대하고 심각한 상황은 분명히 사고인데 이를 기능이상이라고 표현하고 그런 사고를 다 무시한 채 버젓이 무사고 1500일이라 주장하는 핵산업을 비웃는다.
2011년 월성원전에서 사용후핵연료(이 역시 고준위 방사선 폐기물이라고 써야 하지만) 낙하로 인한 손상이 있었고 노동자가 처리과정에서 피폭되는 사고가 있었지만 이 역시 기능 이상일 뿐이라 단정했다고 힐난한다. 비슷한 이유로 고리원전에서 사용후핵연료 습식저장조에서 화재가 난 것도 사고가 아닌 것처럼 위장됐다.
2017년 한빛원전 4호기 증기발생장치에서 발견된 cm의 손망치는 이물질로 표현되었다고 지적한다. 일상에서 시민들이 느끼는 이물질은 작은 오염물질에 불과한데 손망치를 이물질로 표현함으로써 사고의 의미를 대폭 축소시킨 것이다.
마지막 사례로 최근 월성원전에서 발생한 원전삼중수소누출 사고다. 이것을 원전에서는 사고라는 용어대신 ‘비계획적 누출’이라는 말로 사고 자체를 희석시켰다고 지적한다. 절차에 따라 배출하지 않는 모든 것은 사고밖에 없다. 그 사고를 사고라고 하지 않고 비계획적 누출이라고 표현하면 사고사실을 은폐하고 조작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신뢰를 받기는 애당초 어렵다. 한수원이나 원전관련 기업은 물론 연구소나 해당 정부부서까지 경주시민이나 국민을 바보나 개돼지로 취급한다면 모를까 이런 얄팍한 용어들은 앞으로 쉽게 바꿔야 한다. 자기네들끼리 쉬쉬하다가 호미로 막을 걸 포크레인이 와도 못 막는 사고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