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부지 곳곳에서 삼중수소가 검출됐다는 사실이 확인됐지만 안전성 확보를 위한 후속 조치는 뒷전으로 밀리고 정치적 이슈만 부각되고 있는 것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여·야 정치권이 이번 삼중수소 검출을 두고 월성1호기 조기폐쇄를 둘러싼 각자의 논리만 들이댈 뿐 정작 안전문제는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삼중수소 검출과 관련, 월성원자력본부 측은 한수원 자체 조사에서 2019년 4월 월성원전 3호기 터빈건물 하부 지하수 배수로 맨홀에 고인 물에서 리터당 71만3000㏃(베크렐)의 삼중수소가 검출됐다고 했다. 그리고 배수관로에 고인 물을 액체방사성폐기물 처리계통으로 모두 회수했으며, 이후 유입된 물의 삼중수소 농도는 기준치(4만Bq/L) 이내인 약 1만㏃/L 정도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삼중수소가 검출된 고인 물을 모두 회수했고 이를 정부규제 기관이나 민간환경감시기구, 주민들에게 알렸다고 했다. 원전 전문가들 중에는 일본 후쿠시마 사고 탓에 삼중수소에 대한 우려 때문에 논란이 커진 것도 있지만 외부유출문제는 우려하지 않아도 될 정도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지역 반핵단체들은 방사능이 ‘어디에서 새는지? 얼마나 새는지? 지하수를 타고 어디로 흐르는지?’를 한수원이나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도 모르고 있다고 주장하며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민간합동조사위원회’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앞으로 조사를 둘러싼 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문제는 월성원전부지 내 삼중수소 검출로 정치권이 더 요란스럽다는 것이다. 정치권의 행동을 보면 경주시민들의 안전에는 문제는 없는지, 앞으로 더 누출우려는 없는지는 중요해 보이지 않아 보인다. 원전가동의 안전성 확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경주시민들은 한수원이 철저하고, 투명한 원전관리를 통해 국가 에너지정책을 이끄는 공기업이 되길 기대하고 있다. 월성원전부지 내 삼중수소 검출로 한수원 뿐만 아니라 정부도 정작 우리나라 원전관리에 중요한 것은 놓치고 있는 것은 없는지 되짚어 보아야 할 때다.
정치권은 원전문제만 나오면 유·불리를 따지며 정쟁거리로 만들어선 안 된다. 무엇보다 국가에너지를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을 소문이나 정치적 잣대를 들이대어 평가절하하는 것은 없어야 한다.
한수원은 삼중수소 부실 관리에 대한 문제는 마땅히 질타를 받아야 한다. 한수원으로 인해 일어나는 각종 논쟁 때문에 천년고도 경주의 이미지가 훼손되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