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31일 기준 경주시 주민등록 인구가 25만3502명으로 1년 사이에 무려 1900명 감소했다. 성별로는 남자 1017명, 여자는 883명 감소했다. 이제 경주시 인구 감소는 전국적으로 상위에 속할 만큼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행안부에 따르면 2020년 12월 31일 기준 우리나라 전국 주민등록인구는 전년(2019년)대비 2만838명이 감소했는데 수치상으로 보면 1900명이 감소한 경주시가 우리나라 전체 감소인구에 10%를 차지하고 있다. 경주시는 지난 2016년 말 25만9452명에서 2017년 25만7903명으로 1549명이 감소했고, 2018년엔 25만6864명으로 전년보다 1039명이 줄었다. 또 2019년엔 25만5402명으로 전년 대비 1462명이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는 1900명이 줄어 최근 5년 가운데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주시의 이 같은 인구감소 추세라면 2023년이면 25만명 선도 붕괴될 것으로 보여 진다. 경주시는 인구 감소 문제 이외에도 더 큰 사회적 변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어 경주시 정책수립방향에 중요한 변화가 요구된다. 인구는 줄어들고 있는데 1인 세대 증가로 세대수는 2019년 11만8542세대에서 무려 2963세대가 늘어난 12만1505세대로 급증했다. 이는 최근 5년간 1700~1800여 세대씩 증가해오다 지난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세대수는 늘고 세대원수는 줄어드는 현상을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 또 경주시는 지난 2018년 말에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4%를 기록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그리고 불과 2년 만에 전체 인구의 22.6%(5만7313명)를 차지하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경주시는 그동안 이 같은 난국을 타개하기 취해 출산장려를 위한 정책 마련과 일자리창출, 복지 및 교육환경개선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인구자연감소와 고령화, 1인 세대 증가, 저출산 문제 등의 총체적 난국을 경주시와 같은 중소도시가 스스로 헤쳐 나가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러나 인구감소가 전국적인 문제라고 하더라도 경주시가 전국에서 가장 많이 인구가 빠져나가는 도시가 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 따라서 경주시는 지금이라도 있는 인구라도 잘 유지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 시민들이 바라는 정책은 적극 확대하고 필요한 것은 파악해 지역별, 연령별, 직업별 맞춤형 행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시점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