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2021년 7월로 시행하려던 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1년 뒤로 연기 된다. 경주시는 지난 22일 시청 알천홀에서 경주시대중교통운행체계 개선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최종보고회는 시내버스 운행 전면개편을 포함해 시내버스 운송원가 타당성, 운송손익, 노선개편 타당성 등 시내버스 운행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보고회에서 가장 관심을 모은 것은 시내버스의 지선, 간선 노선으로 전면 개편이다. 노선 개편은 승용차 증가와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공간구조 변화와 교통여건 변화, 민원, 주52시간제 시행 등으로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내버스 이용 시 배차간격과 복잡한 운행경로, 외곽지역 접근성 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적돼 왔다며 지선과 간선체계 정립과 번호체계 개선을 통해 편리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급행버스 도입, 주요 개발지역 서비스를 통해 신속성을 확보하고 민원과 수요에 따른 공급으로 형평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개편안을 살펴보면 110억원의 예산으로 중형전기버스 40대 도입을 비롯해 평일과 주말·공휴일 2개 타입, 노선 축소(87→72), 운행대수 증차(149→189) 등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최종보고회에서 전문가들의 노선개편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전문가들은 “노선 개편은 지선과 간선이 가장 큰 특징으로 이대로 개편되면 주민 편의는 증대되지만 비용 역시 증가된다”면서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버스 운영회사의 사회적 책임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전문가는 “시민들의 기본적인 발은 시내버스다. 버스를 교통복지 차원으로 생각해야 한다”면서 “버스를 증차하지 않으면 복지 사각지대를 해결할 수 없는 공공재 성격이다”고 말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최종보고회에서 내년 7월 시행하기로 했던 노선개편이 연기된다고 밝혔다. 주 시장은 “내년 시행하려던 노선개편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손실보조금 증가, 국·도비 확충 문제 등 재정 부담으로 시행시기가 2022년 1년 늦추기로 했다”면서 “1년 유예한 만큼 면밀히 검토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