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를 보다가 열이면 열 모두 감탄사를 연발하는 장면이 하나 있다. 바로 여자 주인공이 쉬지 않고 서른 두 바퀴를 빙글빙글 도는 모습이다. 이것을 32회전 푸에테라고 하는데, 발레에서 볼 수 있는 최고의 테크닉이다. 푸에테(fouette)는 한쪽 발로 몸을 지탱하고 그것을 축으로 삼아 팽이처럼 도는 연기를 말한다. 보통사람은 한 두 바퀴 도는 것도 힘든데 이걸 서른 두 번이나 연결하면 묘기가 된다. 무용수가 푸에테를 시작할 때면 관객도 가슴이 조마조마해서 숨을 죽인다. 마침내 32회전이 완성되고 나면 큰 박수 소리가 터져 나온다. 주의할 점 하나! 무용수가 푸에테 연기를 펼치는 동안에는 박수를 삼가는 게 좋다. 무용수의 집중력을 흩트릴 수 있기 때문이다. 32회전 푸에테는 고전파 발레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낭만발레인 라 실피드나 지젤에서는 찾아 볼 수 없다. 32회전 푸에테는 초미니스커트인 클래식 튀튀와 궁합이 잘 맞는다. 여성의 늘씬한 하체 전부를 드러내면서 빙글빙글 도는 모습은 분명히 매력적인 볼거리가 된다. 그럼 누가 이런 고난도 테크닉을 처음으로 선보였을까? 이탈리아의 무용수 레냐니(P.Legnani/1863-1930)라고 한다. 그녀는 1894년 ‘신데렐라’에서 32회전 푸에테를 처음 선보였고, 다음 해에는 ‘백조의 호수’에서 왕자를 유혹하기 위해 서른두 번을 돌았다. 신데렐라에서 레냐니의 신기에 가까운 푸에테 연기를 본 프티파가 백조의 호수 3막에 그녀를 위해 안무를 삽입한 것이다. 레냐니는 1인2역으로 오데트와 오딜을 소화한 최초의 무용수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한 세기가 지난 후 영화 ‘블랙스완(Black Swan/2010년)’의 모티브가 되었다. 선악이 공존하는 한 인간의 정신분열을 잘 연기한 나탈리 포트만은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2011년)을 거머쥐었다. 의문점 하나! 푸에테는 반드시 32회전이어야 하나? 32회전이 나오도록 안무가 되어 있지만, 실제 공연에서는 간혹 31회전이나 33회전인 경우도 있다고 한다. 공연 중에 푸에테가 나오면 세어 보리라 마음먹지만 그리 되지 않는다. 푸에테 연기의 황홀함에 빠져 숫자를 셀 염두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