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내에서 감포 방면으로 넘어가는 동대봉산(옛 은점산) 절골에 위치한 황용사(黃龍寺)터에서 통일신라시대 투조 금동귀면 등 금동제 유물 20여점이 출토됐다.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전국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사업을 하고 있는 불교문화재연구소는 22일 경주시 황용동 황용사터에서 조사 성과 설명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황용사 중심사역 서쪽구간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지난 2018년 이곳에서 발굴돼 국내 최초로 확인됐던 투조 금동귀면 2점이 추가 출토됐다고 설명했다. 또 당간(幢竿)의 일종인 금동보당(寶幢)과 기단, 금동불상 옷자락 조각, 금동사자상, 금동연봉, 금동촛대받침 등이 발굴됐다.투조 금동귀면은 지난 조사에서 확인된 금동귀면과 비슷하지만 크기나 수염, 귀모양 등이 조금씩 다른 형태다.
특히 금동보당과 기단은 당간부와 기단부를 합친 길이가 110㎝로,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보당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리움미술관이 소장한 고려시대 보당의 길이 73.8㎝ 보다 크며, 시기도 앞선다.금동불상 대의편 대좌위에 흘러내린 옷주름 조각은 직경 30㎝가 넘고, 전체 비례로 볼 때 약 1m 이상의 대형 금동불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사자상은 2점이 출토됐다. 크기는 약 17㎝로 앞, 뒷다리를 쭉 뻗어 무엇인가를 받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분황사와 용장사의 출토품과 유사하며 주로 촉대나 광명대를 받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금동연봉, 금동촉대받침 등 다양한 금동제 유물이 확인됐다. 연구소는 “다양한 금동제 유물이 확인돼 창건 당시 황용사의 격이 경주지역 내 주요 사찰과 비교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높았던 것으로 여겨진다”고 설명했다.이번 조사에서는 서탑을 중심으로 회랑, 건물지, 석축, 석렬, 진입부 등 많은 유구도 확인됐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018년부터 이곳 절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석불, 소조불, 용두 조각, 하대석 조각, 명문 기와 등을 발굴했고,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조성한 건물지 유적 5동과 탑 터, 축대, 석렬 등을 확인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지금까지 조사결과 황용사는 계곡을 따라 다단의 석축 대지를 축조한 후 상면에 건물들을 조성했던 산지형 가람으로, 통일신라시대 창건돼 조선시대까지 계속 번창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경주 황용사지는 통일신라시대 화려한 금속공예기술과 건축기술이 집약된 유적으로 확인됐다”며 “지금까지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황용사지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 정비, 복원 등이 이뤄진다면 또 다른 경주지역 대표 불교문화유적이 탄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