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회 선생의 만엽집 칼럼에서 언급한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은 1934년 5월 경주시 현곡면 금장리 석장사터 부근에서 발견되어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유명세에 비해 돌의 크기는 작은 편이다. 길이는 34㎝, 너비는 위쪽 12.5㎝에서 아래쪽 8㎝ 정도이며 내려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두께는 약 2㎝다. 그 원문과 뜻은 아래와 같다. 壬申年六月十六日二人幷誓記天前誓今自」 三年以後忠道執持過失无誓若此事失」 天大罪淂誓若國不安大乱世可O」 行誓之 又別先 辛未年七月廿二日大誓」 詩尙書秋傳倫淂誓三年」 임신년(壬申年) 6월 16일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하여 쓴다. 하늘 앞에 맹세해 지금부터 3년 충도를 잡고 과실이 없기 맹세한다. 만약 이것을 어기면 하늘에 대죄를 얻음을 맹세한다. 만약 나라가 불안하고, 크게 어지러운 세상이면 가히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 따로 먼저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한다. 시(詩), 상서(尙書), 춘추전(秋傳)을 차례로 익히기를 맹세하고 3년으로 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비의 제작년도나 제작한 사람은 나와 있지 않다. 다만 임신년과 신미년은 진흥왕 13년(552) 혹은 진평왕 34년(612)으로 추정하고 이를 근거로 신미년은 진흥왕 12년(551) 혹은 진평왕 33년(611)으로 추측한다. 이 임신서기석은 훈석식(訓釋式), 우리말 어순으로 쓰여진 것으로 해석되어 비석 제작 당시 우리말과 한문의 연관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김영회 선생 역시 이 훈석식 작법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향가 역시 이러한 바탕에서 쓰여진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훈석식 작법(作法)이 신라고유의 한문서술체계였다면 이것은 김영회 선생의 말대로 향가해석을 뒷받침하는 한국판 로제타스톤이라 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문화사적 기념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박대종 대종언어연구소 소장은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의 학회지인 월간 ‘한글+漢字문화’의 2010년 6월호(통권131호)에 실린 글 ‘임신서기석 비문 재해석’을 통해 이 비석에 쓰인 글은 중국어 어순에 맞는 일반적인 한문 표기라고 주장한 바도 있다. 그는 “원래 비문에는 없는 구두점을 후세에 잘못 찍으면서 그 구두점에 맞게 해석이 굳어졌기 때문”이라며 “구두점을 바르게 찍으면 일반적인 한문표기임을 알 수 있다”고 말하며 훈석식 작법을 부정한 바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