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영업이 여전한 경주역 앞 집창촌을 폐쇄하고, 기능 전환을 통해 이 일대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임활 의원은 지난 14일 열린 제254회 경주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경주시가 집창촌을 폐쇄하고, 중장기적 계획수립을 위한 용역을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임 의원은 먼저 “경주시는 신라왕경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역사유적 정비 사업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세계 속의 역사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바 있다”면서 “최근에는 코로나19로 관광객이 다소 주춤하지만 황리단길을 비롯한 다양한 관광인프라 확충으로 앞으로 2000만 관광객시대를 열어가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문을 열었다.이어 “이 같은 중차대한 시점인 현재에도 경주시의 관문이라 할 수 있는 경주역 앞에 집창촌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에 실로 놀라움 따름”이라며 “천년의 역사를 품은 경주 중심지에 아직까지도 집창촌이 방치되는 등 행정의 적극적인 관심을 끌지 못하는 현실이 심히 안타깝다”고 지적했다.특히 그는 “지난해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원도심 재생사업에 소요사업비가 과다해 집창촌이 포함되지 않았다”며 “이는 자칫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취지를 무색하게 할 뿐만 아니라, 향후 경주역사 등 폐선부지를 활용한 새로운 경주의 랜드마크 조성에도 많은 애로사항이 나타날 것”이라며 집창촌에 대한 사업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임 의원은 또 최근 타지자체 사업전환 사례를 들기도 했다.임 의원에 따르면 창원시는 지난해 집창촌 폐쇄에 따른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부지 매입과 함께 올해 7월 창원시 성매매피해자 등의 인권보호 및 자립·자활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또 아산시는 여성친화형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해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참여해 지역의 일자리, 돌봄,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가는 공간을 조성 중에 있고, 이미 2017년에 관련 조례를 제정했다. 이외에도 전주시, 파주시 등 전국의 여러 지자체도 지역적 특색에 맞는 기능 전환 사업을 시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임 의원은 “이 같은 사례를 통해 타 지자체들이 얼마나 발 빠르게 대응하는지 알 수 있다”면서 “경주시도 더 늦기 전에 슬럼화하는 집창촌의 기능전환과 함께 원도심 활성화사업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하고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집창촌은 업소와 지역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하나의 정책으로 단기간에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지역적 특색에 맞는 사업 발굴 및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할 것인지 중장기적인 계획수립을 위한 용역을 조속히 시행해 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끝으로 임 의원은 “집창촌은 역사문화도시 경주의 치부일 수밖에 없는 현실을 경주시가 직시하고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시행해 줄 것”을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