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청와대 소재 보물 제1977호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청와대 석불좌상)의 경주 이전을 위해 도지동 소재 이거사터에 대한 정밀발굴조사 및 토지매입을 추진한다.
경주시는 지난 12일 열린 경주시의회 문화행정위원회 간담회에서 ‘경주 이거사지 발굴조사 및 토지매입 추진 계획’을 밝혔다. 이거사터는 지난 2018년 10월 일제강점기 자료 ‘신라사적고’에 청와대 석불좌상이 ‘도지리 이거사터에서 총독부로 이전했다’는 내용이 발견돼 불상의 원 위치로 알려진 곳이다. 이날 경주시의 보고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이거사터에 대한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금당지와 강당지로 추정되는 유적을 확인했다.
또 문화재 전문가 자문 결과 불상이전과 관련해 이거사터 이전에 동의하지만, 국립경주박물관 등으로 임시 이전하는 것은 불상훼손 등의 이유로 문화재위원회 승인을 받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문화재 지정과 관련해서는 유적 내 토지소유주 비동의로 전체 사역에 대한 발굴조사가 되지 않고, 석탑에 대한 복원·정비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과 국비지원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시는 이거사터에 대한 문화재 지정과 학술적 고증을 위해 이거사터에 대한 추가발굴조사를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판단, 이곳 부지 1만6649㎡ 매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이번에 확인된 금당지, 강당지, 건물지 등을 중심으로 석탑지 등까지 조사범위를 확대해 이거사터의 성격, 가람배치 등을 규명하고, 문화재 지정과 정비 학술자료를 확보키로 했다. 또한 비지정문화재에 대한 토지매입과 발굴조사는 국·도비지원이 어려워 전액 시비로 추진키로 했다. 사업비는 발굴조사 3억원, 부지매입 11억원 등 총 14억원이다.
경주시 관계자는 “청와대 석불좌상의 원위치인 이거사터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사역에 대한 학술적 고증이 필요하다”면서 “문화재지정을 위한 학술자료 확보를 위해 추가발굴조사가 진행돼야 하고, 유적의 보존과 정비를 위해 토지매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주낙영 시장은 지난 12일 이거사지 발굴조사 현장을 찾아 조사 성과를 듣고 점검하기도 했다.
한편 청와대 석불좌상은 일제강점기 문화재 수난사를 대표하는 유물로, 원 위치가 도지동 이거사터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불상은 1912년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조선총독이 경주 고다이라 료조(小平亮三) 자택에서 본 뒤 이듬해 서울 남산 총독관저로 옮겼고, 1930년대에 청와대에 새 총독관저를 지으면서 또다시 이전됐다.
1974년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가 지난 2018년 4월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승격됐으며, 명칭 또한 ‘석불좌상’에서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으로 변경했다. 경주에서는 2018년 경주시, 경주시의회, 경주문화재제자리찾기시민운동본부가 불상의 반환과 이거사지를 정비해 제자리에 이전하기 위한 민관추진위원회를 결성했다.
민관추진위원회는 청와대와 국회, 문화재청,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을 찾아 불상을 조속히 경주로 돌려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이에 문화재청은 이거사터에 대해 명확한 고증과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불상이전을 검토·결정할 계획을 밝혔고, 2019년 이후 문화재청 국고보조사업으로 이거사지 학술조사와 불상이전 계획수립이 진행돼 시·발굴조사가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