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남산 약수곡 절터에서 통일신라시대 석조여래좌상에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의 머리, 불두(佛頭)가 나왔다. 머리를 찾은 석조여래좌상은 방형대좌가 사각형으로, 경주에서 옮겨진 것으로 알려진 ‘청와대 미남석불’과 동일한 형태여서 눈길을 끈다.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내남면 용장리 산 1-1번지 일원 경주남산 약수곡 제4사지에서 머리 없이 방치돼있는 석조여래좌상의 주변 정비 중 불상의 머리가 발견됐다고 지난 3일 밝혔다.
발굴조사는 경주남산 약수곡(석조여래좌상절터) 경역을 보수 정비하기 위한 전단계로, 석조여래좌상의 원위치를 확인하고 주변을 정비하기 위해 진행됐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경주 남산의 불적’에 소개돼있는 이 석조여래좌상은 본래 있던 위치(미확인)에서 옮겨진 상태로 반듯하게 놓여 있었다. 그 옆에 불상의 중대석과 상대석이 불안정한 상태로 노출돼 있었고, 불상의 하대석도 원위치에서 움직여 동남쪽 위에 있는 큰 바위 아래에 바로 놓여 있다.
연구원에 따르면 이번에 발견된 불두는 큰 바위 서쪽, 즉 하대석 서쪽 옆 땅속에 묻힌 상태로 머리는 땅속을 향하고 얼굴은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였다. 불두의 오른쪽 일부와 오른쪽 귀 일부에서는 금박이 관찰됐다. 또 미간사이 백호를 장식했던 둥근 수정은 떨어진 채 불두 인근에서 같이 발견됐다.
이는 통일신라시대 석조불상의 원형을 고증하는데 중요한 학술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이외에도 불두 주변에서 소형 청동탑, 소형 탄생불상 등도 함께 출토됐다.
머리가 유실된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후기 작품으로, 석굴암 본존불상과 같이 항마촉지인 도상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 석불좌상의 대좌(불상을 놓는 대)는 상당수가 팔각형으로 조성된 것에 비해 이 불상의 대좌는 방형(사각형)으로 조각된 것이 특징이다. 이 같은 방형대좌는 최근 경주 이거사지 출토품으로 알려진 청와대 내 녹지원 석불좌상과도 동일한 형식이다.
이번 조사구역에서는 시기를 달리 하는 2개의 건물터 층이 위아래로 겹쳐진 채 확인되기도 했다. 윗층에서는 고려시대 기와가 출토됐으며, 북쪽에 자리한 마애대불과 같은 시기의 것이다.
석불좌상과 같은 시대 층인 아래층에는 통일신라시대 평기와가 주로 출토되고 있으며, 여러 점의 연화보상화문수막새와 암막새도 함께 확인됐다. 아울러 주변에는 통일신라시대 건물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공석 등도 함께 나왔다.
연구원 측은 “이번에 발견한 불두에 대해서는 통일신라 석조불상·마애불상의 개금(改金,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함)과 채색 여부에 대한 학술적인 논의를 포함해 추가 조사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경주시는 이번에 찾은 불두와 석불좌상을 복원하고, 주변도 정비할 계획이다.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이번 발굴한 불두를 오는 10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현곡면 가삼골 1길 19-10(신라문화유산연구원 보존처리연구동)에서 일반에 공개 후 보존처리에 들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