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 노동조합(위원장 노희철)은 지난 27일 경주역 광장에서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맥스터) 증설을 위한 공론화에 시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호소했다. 한수원 노조는 조합원 200여명은 이날 호소문을 통해 “원전운영에 중요한 시설인 맥스터가 포화되면 월성 2~4호기는 가동중단이 불가피하다”며 “이는 원전 종사자, 지원인력 및 지역산업체 고용이 심각하게 위협받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노조는 “국가경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겠지만, 아울러 지방세와 지역지원사업비, 경주지역 각종계약 등이 중단돼 지역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며 시민들의 지지를 호소했다. 노조는 호소문 발표에 이어 지역 상인들과 주민들을 만나 홍보물을 배포하며 맥스터 증설의 필요성을 알렸다. 이에 앞서 원자력국민연대, 원자력정책연대, 환경운동실천협의회, 에너지흥사단 등 탈원전 반대 시민단체 대표 등 20여명은 지난 21일 경주시청 현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맥스터 증설을 촉구했다. 이들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운영변경허가를 한 맥스터 증설은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원자력발전소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필수적인 관계시설”이라면서 “경주지역 경제와 환경을 생각하고 안전한 원자력발전을 위해 맥스터 증설은 반드시 적기에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은 “맥스터 추가건설을 반대하는 일부 단체는 필수적인 원자력 관계시설 증설을 탈원전 활동으로 확대해 반대를 위한 반대를 외치고 있다”며 “이는 사용후핵연료를 핵폭탄과 동일시하는 비전문가의 선동으로, 지역민 간 갈등을 부추기며 환경과 경제를 파괴해 미래세대를 팔아먹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맥스터는 방사성폐기물관리법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대상이 아니다”면서 “2010년 부지확보와 검증을 완료했지만, 금융비용 등 경제성 이유로 절반의 시설만 운영하다, 추가 검증해 증축하는 것으로 순수하게 월성원자력 안전운영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김병기 원자력국민연대 공동의장은 “맥스터가 적기에 건설되지 못한다면 경주시의 지방세수 약 1300억원이 감소하고 매년 일자리 500여개가 사라지며, 경제효과도 연간 430억원 가까이 감소하게 된다”며 “이런 모순 속에 진행되는 재공론화에 경주시민께서는 경주의 자존심을 걸고 맥스터가 조속히 건설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시길 부탁 드린다”고 밝혔다. 반면 경주환경운동연합 등 17개 단체로 구성된 월성원전 핵 쓰레기장 추가건설 반대 경주시민대책위는 지난 14일부터 경주역 광장에 천막을 치고 맥스터 증설을 반대하고 있다. 이 단체는 2만여시민의 서명을 받아 맥스터 증설을 위한 공론화를 저지하겠다고 밝히며 반대 운동에 들어가 향후 찬반논란이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