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경 월성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맥스터) 증설 결정을 앞두고 찬반 논쟁으로 지역사회가 또 다른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은 정부의 약속 불이행 때문이다. 그동안 맥스터 추가건설 저지와 주민투표 불가를 주장해 온 ‘월성원전 핵쓰레기장 추가건설 반대 경주시민대책위’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월성원전 맥스터 추가 건설은 불법이며 위험한 시설물이다”며 반대하고 있다. 또 “방폐장 유치지역 특별법 18조에 따르면 사용후핵연료 관련 시설은 유치지역에 건설할 수 없다. 경주에 건설할 수 없는 사용후핵연료 관련 시설인 불법 핵쓰레기장이 경주에 건설돼서는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 단체들은 경주시민들이 고준위핵폐기물을 내보낼 수 있다는 희망으로 2005년 방폐장을 받아들인 것이며 경주시민이 목숨으로 지켜야 하는 법을 정부와 한수원이 지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한국수력원자력, 두산중공업 등 7개 원전관련기업노조로 구성된 원자력노조연대도 기자회견을 열고 “맥스터의 포화율은 97.6%로 내년 11월이면 포화상태에 이르기 때문에 적기에 건설하지 않으면 월성 2~4호기가 무기한 멈추게 될 것”이라며 맥스터 증설을 촉구했다. 노조연대는 원전 3개 호기가 발전을 정지하게 되면 경주지역 계약 117억원 등 총 700억원이 사라져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어려워진 경주경제를 더욱 힘들게 할 것이라고 했다. 또 맥스터를 증설하면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시설이 되리라는 것과 국내 타 원전의 사용후핵연료를 월성으로 가져올 것이라는 허위정보로 시민의 귀를 속이고 있으며 법적으로 맥스터 증설이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시설로 결코 전환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포화상태를 앞두고 있는 맥스터의 증설 논란은 이미 예견된 일이며 그 원인은 정부와 한수원의 무관심이 때문이라 사료된다. 정부와 한수원이 맥스터 포화상태를 모를 리 없으며 탈원전 정책에 따른 파장 또한 예상하지 못했을 리 없다고 본다. 지금 경주시민들이 비판하고 있는 것은 2005년 방폐장부지 선정 당시 정부가 많은 약속을 했지만 제대로 지키지 않았기에 더 이상 믿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신뢰가 없는 상황에서 당장 맥스터를 증설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맥스터를 반드시 증설해야 한다면 투명하게 절차에 따라 실행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그리고 그에 앞서 경주시민들에게 사용후핵연료 영구저장시설을 다른 지역에 설치하겠다는 약속부터 명문화하는 것이 도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