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특성을 정밀 분석하는 국가기관이 경주에 들어설 전망이다. 경북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방사성폐기물 정밀분석센터’를 경주에 설립하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 사업을 중기사업계획에 반영하고 내년에는 설계에 들어가기 위한 국가예산 편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경북도의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 사업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성폐기물 정밀분석센터는 원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등을 정밀 분석해 방폐물 분석 오류를 막는 역할을 맡는다. 방폐물 안전관리 수준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 방사성폐기물 정밀분석센터 설립은 지난 2018년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경주 방폐장으로 반입한 중저준위 방폐물 일부에서 핵종분석 오류가 발견된 이후 꾸준히 제기돼왔다. 당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반입한 중저준위 방폐물 2600드럼 중 945드럼에서 방사능 분석오류가 발견됐다. 이로 인해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을 운영하는 원자력환경공단은 2018년 12월 이후 1년 넘게 폐기물 반입을 중단했었다. 원자력환경공단은 이후 다양한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한 끝에 1년 2개월 만인 올해 초 반입을 재개했다. 이 같은 과정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외에도 알파, 베타, 감마 등 전체 핵종 분석 장비를 갖춘 방폐물분석센터를 추가 설립해 교차분석이 가능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었다. 방폐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것으로, 이 사건 뒤 경북도는 정부에 방폐물분석센터를 설립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센터는 경주지역 1만5000㎡ 부지에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 간 행정동과 연구시험 분석실, 교육실습동 등을 갖출 예정이다. 경북도는 현재 사업비 350억원을 투입할 방폐물분석센터 규모를 두고 정부와 협의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북도 관계자는 “경북에 지난해 확정된 중수로해체기술원과 혁신원자력연구단지에 이어 방폐물 정밀분석센터까지 들어설 경우 10년 전 계획한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이 빛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