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미세먼지, 매연 저감 등 대기질 개선 효과와 친환경 대중교통 체계 마련을 위해 전기버스 도입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라고 지난 21일 발표했다.
서울시는 지난 2년간 전기시내버스 135대를 도입한 데 이어 올해는 그 두 배 규모인 325대(시내 225대, 마을 100대)를 추가 도입하기로 했다. 7월부터 순차적으로 출고되기 시작하면 전기버스 운행대수는 연말까지 총 460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시는 국가보조금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면 연내 더 많은 전기버스를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거주지 인근의 생활도로를 운행하는 중형 경유 마을버스를 전기버스로 교체하기 시작하는 등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확대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주택가 근처의 버스 운행으로 소음 및 대기오염·미세먼지 등 불편을 겪어왔던 시민의 고민을 해결하고, 생활 속에서 친환경 대중교통의 효과를 느낄 수 있을 전망이다.
전기버스는 주행 시 질소산화물(NOx)과 같은 오염물질 및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평가받는다. 또 전기버스는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어 승객들이 느끼는 승차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운전원의 피로감을 낮춰 안전운전에도 큰 도움을 준다.
앞으로 서울시는 2025년까지 전기버스를 포함한 친환경 시내버스를 3000대, 마을버스는 470대 수준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친환경 전기버스 도입은 미세먼지 저감 및 고급화를 통한 승객 편의 증진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전기버스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환경 대중교통 선도 도시의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의 전기자동차 확대는 서울시내 각종 문화유산 보존에도 좋은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매연으로 인해 그을리고 훼손되는 문화유적이 전기버스 도입만큼 보존될 것이기 때문이다. 경주도 전기버스의 확대를 적극추진해볼 만하다. 이에 따른 국고보조금 신청도 미리 고려하면 좋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