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식어있던 제21대 4.15총선 투표일이 5일여 앞으로 다가왔다. 여야 꼼수로 만들어진 비례대표투표 위성정당, 명분 없는 공천갈등, 공약부재의 비난 속에서도 이제 유권자의 심판만 남았다. 경주신문은 이번 제21대 4.15총선을 앞두고 정책선거를 통해 시민들에게 알권리를 제공하기 위해 후보자 서면 인터뷰와 서면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후보자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각 분야 현안에 대한 후보들의 공약을 보도를 할 수 있었지만 난제를 풀어가는 해결책은 드물었다. 본지가 각 후보들의 공약을 살펴본 결과 지난 10여년간 경주총선 때마다 제기된 내용이었지만 시민들은 이번 총선이 해묵은 현안을 해결하고 갈등을 해소하는 마지막 기회가 되기를 기대했다. 따라서 현재 경주의 가장 난제인 한수원 본사를 둘러싼 논쟁과 원전문제로 인한 갈등 봉합, 동해남부선 이설에 따른 폐철도 부지 및 경주역사부지 활용에 대해 각 후보들의 공약을 살펴보고 가능성을 예상해 본다. -해묵은 논쟁 한수원 본사 시내권 이전과 원전문제 양북면 장항리에 들어 선 한수원 본사가 지역사회에 큰 시너지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에 대한 본사 이전문제는 총선 때마다 단골 메뉴였다. 이번에도 동경주 주민들과 논의를 전제로 이번 논의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일부기능을 수행하는 제2청사 시내권 설치, 기존 한수원 본사 활용 등의 공약도 나왔다. 후보들마다 필요성은 제기했지만 해법은 구체적이지 못했다. 시민들은 지난 3번의 총선을 거쳤지만 한수원 본사 이전이나 제2청사 시내권 설치 이슈가 조금도 진척이 없었다며 아쉬워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월성1호기 영구폐쇄에 대한 입장은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정다은 후보와 정의당 권영국, 민생당 김보성 후보는 지지를, 야당인 미래통합당 김석기 후보와 무소속 정종복 후보는 월성1호기 영구폐쇄 철폐와 재검토를 주장해 상반됐다. 이러한 양 진영의 상반된 공약은 각 정당의 원전정책에 방향은 제시했지만 경주시민들의 바람을 담아내지 못했다. 해묵은 한수원 논쟁 이번 총선에서 마무리하고, 원전문제는 갈등이 아닌 발전적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난제가 될 소지가 많은 동해남부선 이설 후 폐철도 부지와 경주역사부지 활용 동해남부선 이설에 따른 폐철도 부지와 경주역사부지 활용은 경주총선과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때마다 시민들의 가장 관심사 중의 하나였으며 후보들의 단골 공약이었다. 후보들도 해법은 달랐지만 경주발전의 밑그림을 그린 부문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김석기 후보는 경주역사부지에 경주에 알맞은 상징물을 설치해 랜드마크로, 김보성 후보는 폐철도를 이용해 트램 설치, 중요 유적지와 시내 중심권 묶는 이동수단을, 권영국 후보는 폐철도 부지를 주민들의 공간으로 돌려주고 경주역사를 보전하고 부지에 역사문화복합타운 조성, 농특산물판매장 등 조성을, 정종복 후보는 관광지와 광역교통망과 연결 관광객 시내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역사부지에는 시청, 도서관, 상징광장, 관람타워 조성을, 김일윤 후보는 경주타워 설치, 안강역사 주변 균형발전 모델 구상 등을 각각 제시했다. 경주역사부지 활용은 지난 20여년 동안 시내권 시민들에게 가장 큰 관심사였지만 동해남부선 이설이 미뤄지면서 수면 아래 있었다. 하지만 2021년 동해남부선 경주구간과 중앙선 일부구간이 이설되면 이들 부지에 대한 활용은 직면하게 될 것이다. 후보들의 공약만 보면 누가 당선되더라도 진전이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경주역사부지에 상징물 설치, 공공기관 이전 및 설치 등의 공약은 시민여론수렴과 각종 규제와 재원 문제 등이 큰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주의 해묵은 현안은 향후 미래 경주발전과 직결되는 것이어서 이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나아가기 어렵다고 보여 진다. 한수원 본사 이전과 원전문제, 폐철도 부지와 경주역사부지 활용, 지역사회 내 만연한 대립과 불신, 갈등 등을 풀어 갈 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역사문화관광도시 경주를 기대 할 수 있다. 선거 공약은 후보들이 국정철학과 지역사회를 위한 애정을 살필 기회다. 이번 총선에서 후보들이 내놓은 공약 중 중요한 내용을 다시 꼼꼼히 살펴보고 선택하는 혜안을 기대한다. 후보들의 공약(公約)이 공약(空約)이 되지 않게 하는 것도 시민들의 몫이라 사료된다. 이번 경주총선에서 해묵은 난제를 진정성 있게 해결할 수 있는 인물을 찾아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