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민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이 81.8%, 생활체육 참여율이 66.6%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1인당 평일 여가시간이 2016년 3.1시간에서 지난해 3.5시간으로 늘면서 우리 국민의 문화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이 문화로 더욱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국민 문화활동 지원’, ‘취약계층 문화복지 확대’, ‘생활문화기반시설 등 인프라 확충’ 등 국민의 문화향유권 보장에 나섰다. #국민 문화 활동 지원-국내여행 숙박비 소득공제 등 문화비 소득공제 활성화 국민의 문화향유 여건 조성을 위해 ‘여행이 있는 금요일’ 등 휴가문화개선 캠페인을 전개하고 지역 축제나 테마여행 방문자 6만명에게 추첨을 통해 국민관광상품권(10만원)을 지급한다. 또 국내 여행 활성화를 위해 국내 여행 숙박비에 대해 도서·공연비 등과 같이 신용카드 등 30% 소득공제를 적용하는 ‘국내여행 숙박비 소득공제’를 추진한다.
문체부는 2018년 도서구입비와 공연관람료에 대한 문화비 소득공제를 시작으로 지난해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올해는 국내여행 숙박비, 2021년부터는 신문구독료에 대해서도 소득공제를 적용하는 방안이 마련된다. 소득공제는 총급여 7000만원 이하 근로소득자를 대상으로 최대 100만원 이내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상별 문화·체육·관광 활동 지원-문화복지 사각지대 해소 미래세대·직장인·취약계층 등 다양한 대상별로 문화·체육·관광 활동을 지원한다. 학교예술강사 지원(8000개교), 직장 문화프로그램 배달(120개소),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10개소), ‘문화가 있는 날’ 지역특화 프로그램(70개) 등으로 문화향유를 촉진하고, 고3 여행교육(8회), 대학생 실전여행을 통한 관광지 점검·개선제안(150명), 근로자 휴가지원을 대폭 확대(8만명→12만명)로 생애주기별 국내관광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 학교연계형 공공스포츠클럽 도입(신규, 63개소)과 생활체육지도사 배치(2800명), 국민체력인증센터(2019년 51개소→2020년 누적 172개소)도 확대해 생활체육 기반을 다진다.
게다가 저소득층 대상 통합문화이용권을 대폭 확대(2019년 1인 연8만원, 163만명→2020년 연9만원, 171만명)하고, 유·청소년 ‘스포츠강좌이용권’(5.4만명, 1인 월8만원/2019년 최소 7개월 이상→2020년 최소 8개월 이상 지원)지원을 강화한다. 찾아가는 문화사업, 장애인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270개소), 장애인 체육시설 반다비 국민체육센터 확충(30개소), 무장애 열린관광지 조성(20개소) 등으로 고령층·소외지역·장애인 등의 활동을 보장하고 문화복지 사각지대에 노인 이들에게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한다.
#생활문화기반시설 등 인프라 확충 생활문화기반시설을 확충(신규·개보수 834개소, 6650억원)하고, 문화·체육·복지 등 분야 간 복합화를 지원(335개소, 2264억원)해 주민 입장에서 한 번에 여러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시 브랜드를 창출하는 ‘문화도시’를 선정하고 특색 있는 지역문화거점으로 육성(100억원)한다.
또 사립박물관·미술관 전문인력 지원(226개관), 작은 도서관 순회사서 지원 확대(2019년 53명, 212개관→2020년 270명, 1080개관)와 함께 국민체육센터 운영주체를 사회적 기업 등으로 다양화하며 운영 효율을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