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존중도시 경주 만들기를 위해 경주시, 경주시의회, 노동자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장복이 시의원은 11일 제248회 경주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이 같이 제안했다. 장 의원은 “기초단체인 경주가 우리나라 노동정책 모두를 좌지우지 할 수는 없지만 선도할 수는 있다”며 “경주만의 노사문화, 경주만의 노동시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또 “경주시가 직접 고용한 노동자뿐만 아니라 시 출자·출연기관, 민간위탁, 외주 등으로 진행되는 많은 사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에게 모범 사용자로서의 역할부터 해야 한다”며 “지방자치단체가 먼저 모범 사용자로 역할을 다하면 그 경험과 결과는 민간 노동시장에 명확한 메시지를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생활임금제, 노동이사제, 노동관련 업무전담부서 신설, 저임금 취약계층 노동자들을 위한 각종 지원시설 설치, 공공부문부터 비정규직 정규직화, 다양한 사업과 정책결정에 노동자를 참여시키는 협의체 구성 등 지방정부가 모범사용자로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고 설명했다. 장 의원은 “이 같은 노력이 조금씩 성과를 내면 민간영역에도 좋은 영향을 주고, 경주에는 우수한 인력이 길러지고 모이게 될 것이고 기업 유치로도 이어질 수 있다”며 “경주의 특성에 맞는 노동존중도시를 함께 그려보자”고 제안했다. 또 장 의원은 “최근 광주형 일자리와 같이 지역 차원의 일자리창출 시도들이 확대되고 있는데 그러한 사업도 노동존중도시를 지향할 때만 가능하다”며 “경주도 관광산업 외에 다양한 업종의 기업을 유치해야 하며, 특히 기업 유치를 위해 지방정부 재원이 투입되려면 합리적 이유에 대한 공론화와 사회적 합의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장 의원은 “노동존중도시 관련 다양한 사업도 공론화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면서 “노동존중 경주시를 위해 먼저 의회와 노·정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만들어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협의체에서 타 지자체의 사례를 검토하고, 경주만의 노동존중 도시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찾아 공론화하고, 사업 진행으로 이어지도록 시의회가 함께 참여하고 이끌어 갈 것”을 제안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