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듣기에 생소하고 낯선 나라이기만 했던 키르키즈스탄이라는 이름을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 구 소련으로부터 독립된 신생국, 가난하지만 아름다운 중앙아시아 국가라는 것이 내가 그곳에 대해 알고 있던 전부였다. 하지만 3주간의 봉사기간은 낯설기만 했던 이 나라를 지금은 그립고도 가까운 나라로 만들었다.
봉사단의 지도교수로서 지원할 때 키르키즈스탄은 처음 희망했던 나라가 아니었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혹시 그곳이 안전할까 걱정되는 나라였다. 그러나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이하 대사협)로부터 키르키즈 봉사단의 단장으로 제안을 받았을 때에 나를 필요로 하는 곳으로, 요청이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이 봉사자의 합당한 마음이 아닐까, 현지의 사정이 어렵고 힘든 만큼 봉사의 손길이 더욱 필요할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과 함께 염려와 걱정은 기대와 희망으로 바뀌었다.
출발에 앞서 경희대에서 가진 2박3일간의 사전연수는 현지의 이해와 문화적응을 위해, 그리고 봉사단원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고 봉사자로서의 준비와 결의를 다지는 매우 필요하고 소중한 기회였다. 참여학교와 전공, 연령, 참여동기 등이 달랐지만 키르키즈스탄 해외봉사에 함께 참여하게 된 공통의 연대감 속에서 서로의 마음을 열고 앞으로 맞이하게 될 3주간 여정의 동반자로서 뜨거운 유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2003년 7월 23일. 약속대로 우리는 오후 비행기를 타고 키르키즈스탄으로 향했다. 내 마음속에는 기대감과 설렘이 공존했다. 우리가 그곳에 가서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우리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머릿속은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생각들로 가득했다. 그렇게 시간은 흘렀고 우리 봉사팀들은 어느새 키르키즈스탄의 까라발타라는 아름다운 마을아래 있었다.
봉사단의 활동은 7월 24일부터 8월 1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주요 활동내용은 고려인, 키르키즈스탄인, 러시아인 등 까라발타 주민전체를 대상으로 의료봉사와 이·미용봉사 및 노인정, 정신지체장애자가 살고 있는 재활원과 고아원을 찾아가서 하는 봉사, 주민들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특별활동 교육 실시 (한글, 영어, 태권도, 사물놀이, 유아교육 등) 그리고 현지 대학생들과의 문화교류 및 원주민들의 농사현장 방문 노력봉사 (농장 잡초제거 및 공공시설인 공원벤치 보수 및 페인트 도색작업 / 시청주위 노인정 주변 정리 및 보수 페인트작업 / 마을 주변 외등 전등 끼우기 등) 등으로 구성되었다.
하루일과는 대체로 아침 6시에 일어나서 일조점호, 구보와 체조 및 세면을 하고 7시에 식사, 8시에 의료 및 이미용봉사 준비, 8시 30분부터 중식시간을 제외하고는 4시30분까지 봉사활동이 진행되었다. 의료 및 이미용봉사가 진행되는 동안 다른 팀들은 오전일과를 오이농장에서 잡초제거나 공원의 페인트칠과 같은 노력봉사를 실시하였다.
오 창 섭(서라벌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