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경주대를 시민 품으로’를 주제로 열린 시민대토론회는 지난 10년 간 침체일로를 걸어 온 경주대를 살리기 위한 마지막 노력으로 보여 진다. 1988년 한국관광대학으로 개교해 입학정원이 1500명에 달했던 경주대는 관광 및 문화콘텐츠 분야의 특성화로 우리나라 관광 산업계에 인재를 배출하면서 탄탄한 내실을 다진 대학이었다. 특히 원석재단의 경주대와 서라벌대학은 인근 충효동 일대의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경주시내지역에도 좋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경주대는 지난 10년 간 학생 수 감소시대에 따른 대응 실패와 경영 부실까지 겹치면서 점차 쇠락의 길을 걷다가 대학경영평가에서 바닥에 떨어지고 말았으며 급기야 관선 임시이사까지 선임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지난 14일 열린 경주대 살리기 시민토론회에서 정진후 총장은 경주대를 역사문화관광과 현대기술 융합분야, 보건복지와 재난안전 융합분야, 사회혁신·그린에너지 미래기술 분야로 나눠 재편하는 세 가지 방향을 제시했다. 그리고 지역사회에 함께하는 프로젝트로 경주전통기술교육원을 건립해 전통과 기술의 융합, 경주형 보건복지 통합 서비스, 경북 향토음식을 관광지원화, 무형전통 복원 등을 진행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정 총장의 이 같은 계획은 현재 경주시의 자원과 현실을 맞게 경주대의 방향을 설정한 것으로 보여 지며 향후 진행여부에 대해 시민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대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중소도시인 경주가 발전가능성이 높은 도시라는 평가를 받아 온 것도 지역에 4개의 대학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주대는 재단 측이 대학교육의 본질인 공공성을 외면하고 경영 또한 제대로 하지 못함으로써 지역사회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말았다. 대학은 개인의 의사결정에 의해 좌우되어서는 안 되며 개인이 소유물로 여겨서는 더더욱 안 된다. 경주대의 쇠락은 곧 경주사회의 침체다. 경주대는 살려야 한다. 그리고 살리려면 지역사회의 성원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교육부 종합감사 이후 대학을 살리기 위해 뛰고 있는 대학 관계자, 시민들과 재단 측이 대치하는 모양새는 좋지 않다. 경주대 회생은 대학 관계자와 재단, 경주시를 비롯한 관계기관과 지역기업, 시민, 학생들이 함께 나설 때 그나마 기회를 잡을 수 있다. 때를 놓친 처방의 무의미하다는 점을 주지하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