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태 의원은 경주대와 서라벌대 정상화 및 경주경제 살리기에 시민과 경주시, 시의회의 동참을 요구했다. 한 의원은 지난 20일 열린 경주시의회 제2차 정례회 4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이 같이 말했다.한 의원은 먼저 경주대학교 사학비리 척결을 위한 사학 건전성 강화와 경주대·서라벌대 정상화 공동대책위원회가 지난 6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앞에서 가진 기자회견과 교육부장관에게 제출한 탄원서 내용을 밝혔다.이에 따르면 경주대와 서라벌대의 학교법인인 원석학원은 2017년 12월 학교 구성원들의 감사청구에 따른 교육부 종합감사 결과 교비 횡령, 과다공사비 지출 등 50여건의 교육 관계 법령위반이 밝혀졌다. 이후 교육부로부터 임시이사 7명이 파견됐으나, 현재까지 교육부의 안일하고 미온적인 대처로 임시이사회의 기능마저 마비돼 정상적 학교운영이 불가할 지경에 처했다는 것. 이에 따라 공동대책위원회가 종합감사 실시, 신속한 임시이사 파견, 임시이사 명단 유출과 재발 방지를 위한 엄정 조사와 특단의 조치, 사학비리 척결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등 교육부에 촉구한 내용까지 상세히 설명했다.이어 한 의원은 “18일 유은혜 사회부총리겸 교육부장관은 제15차 교육신뢰회복추진단 회의를 열고, 학교설립자와 그의 친족들은 학교법인 개방 이사로 근무할 수 없게 되는 등 사학의 족벌경영 규제, 감독을 대폭 강화하는 사학 혁신 추진방안을 발표했다”며 “이에 따라 이제 경주대, 서라벌대 정상화에 한 발짝 성큼 다가서게 됐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한 의원은 “경주대, 서라벌대가 정상화돼 학생 3000여명 수준을 유지한다면 1년에 420억원의 지역 내 순지출이 발생해 경주경제의 선순환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지역의 대학이 되살아나면 젊은 세대의 유출을 막고 학생들의 증가로 인구소멸도시도 자연히 해결되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경제도 살리게 된다”고 강조했다.끝으로 한 의원은 “시민의 힘으로 공공형 특성화 강소대학으로 전환, 경주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전문 인재를 키우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니 경주대와 서라벌대 정상화에 함께 동참해 주실 것을 호소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