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소비자의 날을 맞아 경주YMCA(이사장 박동섭)는 경북도와 함께 지난 10일 경주 더케이호텔에서 경북도, 경주시, 소비자단체, 소비자원, 소비자학계 등 관계 공무원 및 유관 인사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9회 경상북도 행복한 소비자포럼’을 개최했다.
‘지방분권 시대, 소비자주권을 새롭게 논(論)하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은 소비자단체 활동가, 학계 관계자, 소비자들이 모여 지난 60여년간의 한국 소비자운동의 역사를 돌아보며 지역소비자의 권익증진을 위한 지방 소비행정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박동섭 이사장은 이날 “소비자운동을 통한 소비자행정의 현실화와 민관이 함께 지역의 문제 해결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하며 이러한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와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응하는 지방 소비행정의 운영과 지방자치단체의 소비자 조례 제정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김호진 경북도 일자리경제산업실장은 “소비자행정에 대한 교육·홍보와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간 자원과 정보의 공유를 통한 협력적 네트워크를 강화해 도내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가톨릭대 김경자 소비자학과 교수의 ‘지역소비자행정 서비스의 의의와 과제’, 대구대 가정복지학과 정영숙 교수의 ‘소비자 복지 개념의 도입과 방향’이라는 주제발표에 이어 지정토론에는 박명숙 동국대 교수(좌장), 정운학 대구공정거래사무소 소비자 과장, 박지민 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장, 김정희 안동대 교수, 남심숙 경주시 일자리창출과장, 이은숙 경주YMCA 사무총장, 강수현 경북도 소비자 담당자가 토론자로 참석해 지속 가능한 지역소비자 행정서비스의 방향과 기초지자체의 소비자 조례 제정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서울과 수도권으로 편중된 소비자 행정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했으나 여전히 광역권에만 머물러 있는 현실에서 소비자행정서비스가 기초지자체로 확대 시행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경주시의 경우 경북도 내에서도 높은 소비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조례가 제정되지 않아 광역 단위(경상북도 소비자 권익증진 조례)와 기초지자체 단위 사이에 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관광 도시를 목표로 ‘소비를 통한 경제 활성화’를 추구하는 경주시도 시대의 흐름에 발 빠르게 대응해 ‘소비자 조례’를 제정해야 한다고 했다.
또 지방 보조금 지원 근거 마련이 되지 않은 각 지자체는 위원회를 통해 지원 근거 마련을 위한 조례 제정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각 지자체의 예산 추계 부문에서도 소비자단체보조금과 물가모니터링 비용 등의 지원 근거를 만들어야 하며 이에 준해 경주시도 소비자지원조례에 근거해 소비자 행정서비스가 운영돼야 한다고 했다.
토론자들은 지역소비자권익증진을 위한 소비자운동을 통해 소비자행정의 현실화 및 민관이 서로 윈-윈(Win-Win)하고 지역의 문제 해결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할 때며 이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서민이 편안하고 행복한 ‘윌빙(Well-being) 시민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무엇보다 협업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한편 1984년 시민중계실(소비자상담실)을 개소하며 35년간 지역소비자의 권익과 피해 구제와 예방에 앞장서 온 경주YMCA는 매년 노인, 지역대학생, 청소년, 취약계층 등의 대상자별 소비자 의식교육과 피해 발생에 앞서 사전 교육을 통한 민원 예방 사업을 계속 전개해 왔다. 올해도 미성년에서 성년이 되는 고3을 대상으로 경주고, 경주여고, 근화여고, 문화고, 경주정보고, 경주여자정보고 등 지역소재 고등학교에서 수능 후 사회에 첫발을 딛는 사회초년생들과 재학생들에게 미성년자 계약 및 품목별 청약 철회 방법, 개인 신용관리 등의 내용으로 ‘찾아가는 피해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23개 읍면동의 원거리 취약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사전예방 교육을 통해 직접적인 상담과 더불어 사전 예방 차원에 교육을 통한 시민 의식 개선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