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가 올해 공공기관 청렴도 조사에서 경주시가 또다시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한 것은 경주시 행정의 총체적 난국이자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밖에 보여 지지 않는다.  지난해 7월 취임한 주낙영 시장은 최하위권에 있는 경주시 청렴도를 높이기 위해 고강도 조치를 천명한 바 있다. 그리고 지난해 연말 경주시 청렴도가 또다시 최하위로 나타나자 올해 초 “신뢰가 바탕이 되지 않으면 다른 어떤 일을 잘하더라도 시민들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없다. 올해를 청렴 실천을 통한 시정신뢰 회복의 원년으로 삼겠다”며 강력한 의지를 피력했었다.  주 시장은 그 조치로 ‘시장 직통 청렴콜’ 개설, 팀장급 이상 간부 개인별 조사와 결과 인사반영, 감사관 외부전문가 개방형 채용, 인허가 부서 2년 이상 근무자 전원 교체, 시민 감사관제 운영 등을 실시해 청렴한 공직사회를 만들겠다고 시민들에게 약속했다. 그러나 주 시장의 이 같은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올해 경주시 청렴도가 또다시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한 것을 보면 경주시 행정 전반이 매너리즘에 빠져 있는 것은 아닌 지 의구심마저 들게 하고 있다.  문제는 전국 지자체의 청렴도가 점차 나아지는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경주시의 종합청렴도는 최하위권인 5등급을 받았다는 점이다. 경북도내에서 지난해 경주시와 함께 5등급을 받았던 영천시가 2등급으로 크게 나아진 것과는 너무나 대조되고 있다.  경주시의 청렴도 조사 결과를 보면 민원인 등 공공기관의 측정 대상 업무와 관련해 직접 경험하고 있는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인 ‘외부청렴도’에서 여전히 5등급에 그쳤다. 이는 경주시를 대상으로 민원을 보는 국민들이 경주시의 행정서비스에 불만이 많고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국민들은 경주시의 행정처리가 공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갑질 풍토가 여전히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또 시청 등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내부청렴도’도 4등급에 그쳤다. 이는 경주시 공직 내부의 불평등이 있다는 의미다. 조직의 청렴도는 내부적인 요인이 외부적인 요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선 내부 관리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국민들이 요구하는 행정서비스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만큼 과거와 같은 행정서비스로는 시대에 뒤떨어지는 행정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살펴야 한다. 올해도 경주시 청렴도가 바닥 수준이자 주 시장은 지난 10일 기자회견을 열고 청렴도 결과 분석과 함께 고강도 청렴 향상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주 시장이 바닥인 경주시의 청렴도로선 시민들과 함께 지속발전 가능한 경주를 만들어 가기는 어렵다는 판단에서였을 것이다. 경주시의 청렴도 최하위로 인해 시민들이 부끄러워해야하는 처지가 되어서는 곤란하지 않겠는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