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경주시 대신 영덕군을 지정 신청을 했던 정부의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이 결국 무산되고 새만금, 광주·전남 2개 지역으로 결정돼 그동안 첨단에너지산업의 큰 그림을 그려왔던 경북도와 경주시의 구상이 어렵게 됐다. 산업자원통상부는 지난 6일 제18차 에너지위원회를 개최해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를 새만금, 광주·전남 두 곳으로 최종 결정하고 15일 새만금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와 광주·전남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를 지정고시했다. 내용을 보면 이들 지역에는 에너지 신시장 창출과 지역에 특화된 에너지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대대적인 전략적 지원이 훤히 들여다보인다. 전북 새만금 일원에 들어설 새만금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는 ‘재생에너지산업 글로벌 중심지의 육성’을 위해 23.9㎢ 면적에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활용해 연관기업, 실증-시험 설비 집적화, 재생에너지관련 연기기관 유치 추진 등을 한다는 전략이다. 또 광주·전남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는 ‘에너지신산업 융복합 거점으로 육성’을 위해 18.92㎢ 면적에 에너지벨리 지역 인프라를 활용하고 발전공기업의 수요를 연계한 기업유치를 통해 자생적 에너지신산업 융복합단지를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그리고 산자부는 지정된 지역에 대해 클러스터 생태계가 조기에 구축되도록 기술개발·실증·인력양성·사업화 등 전주기 지원을 추진하고 기업유치를 위한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우대 추진, 에너지특화기업에 대한 지방세감면·공공기관 우선구매, 종합지원센터 구축 등을 하겠다고 했다. 이들 지역에 매년 1조3886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3791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란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산자부의 이번 결정으로 에너지관련 기업이 이들 두 곳으로 몰리게 될 것이며 에너지관련 모든 연구개발과 이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또한 생기게 돼 이들 두 곳이 미래 우리나라 에너지관련 산업의 중심될 것은 자명해 보인다. 그동안 경북도와 경주시가 애써왔던 에너지관련산업 확장 기조는 더 이상 나아가기 어렵게 됐다고 본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한수원 본사와 방폐장, 원전, 양성자가속기 등이 있는 경주의 미래가 더욱 암울해 보인다. 이들 기관의 위축이 지역경제 침체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정작 해결책을 내놓는 이는 찾기 어려운 것도 작금의 경주 현실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