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쪽샘지구에서 발견된 말갑옷이 발굴 10년 만에 보존처리를 마치고 지난 16일 공개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5세기 전후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쪽샘지구 C10호묘 주곽(主郭)에서 발견한 마갑(馬甲)의 보존처리를 완료해 이날 공개한 것. 출토 당시 말이 착용한 갑옷인 마갑은 바닥에 깔렸으며, 그 위에서 말을 탄 장수가 입은 것으로 짐작되는 찰갑(札甲·비늘식 갑옷)이 발견됐다.  주곽에 딸린 매장시설인 부곽(副郭)에서는 말 얼굴 가리개인 마주(馬胄)와 안장, 재갈, 발 받침 등 다양한 마구가 나왔다. 2009년 발견 당시 말갑옷과 무덤의 피장자로 추정되는 장수의 갑옷이 확인된 것은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됐다.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었던 삼국시대 개마무사(鎧馬武士·철갑옷으로 무장한 말을 탄 무사)의 실체를 보여준 고고학 자료였기 때문이다. 연구소가 이날 공개한 마갑은 길이 약 290㎝, 너비는 약 90㎝다.  무게는 약 36㎏.  목과 가슴 가리개(경·흉갑)는 17단 348매, 몸 가리개는 6단 256매, 엉덩이 가리개는 8단 132매 등 736매로 구성됐다. 마갑의 목·가슴가리개 철편 길이는 6.8~7.2㎝, 너비 5~6.2㎝, 두께 약 0.2㎝이고, 몸통가리개(신갑) 철편은 길이 12.2㎝, 너비 7.6㎝, 두께 0.2㎝이다. 엉덩이가리개(고갑) 철편은 길이 8.3~10.2㎝, 너비 4.6~6.5㎝, 두께 약 0.2㎝ 정도다. 목·가슴가리개는 1~17단으로 구성됐는데 목가리개는 1~11단, 가슴가리개는 12~17단으로 추정된다. 몸통가리개 철편은 좌·우로 각각 6단으로 구성됐고, 엉덩이가리개 철편은 꼬리 윗부분과 아랫부분 각각 8단으로 만들어졌다.  철편은 띠장식을 이용해서 말갈기에서 엮은 것으로 보인다. 몸통가리개 철편은 별도의 연결흔적은 보이지 않지만 말의 등 위에서 엮은 것으로 추정된다.  엉덩이가리개 철편 상부는 안장의 후륜과 연결된 것으로 보이며, 밑부분은 별도의 연결흔적은 보이지 않지만 몸통가리개 양끝과 연결된 것으로 추정된다. 심명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일부가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으나, 목과 가슴 가리개부터 엉덩이 가리개까지 마갑 전체가 온전히 나온 유일한 사례”라며 “갑옷 재질은 철이고, 구멍에 가죽끈을 넣어 엮었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지난해 마갑을 재현하는 실험을 시작했으며, 재현품을 만들 방침이다. 또 보존처리를 끝낸 마갑은 내년 봄에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할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