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탄 인물과 말들을 따라가는 사람들이 춤을 추는 모습. 활을 든 사람들이 동물들을 사냥하고, 말을 탄 주인공은 개와 함께 행렬하고 있다.
경주 쪽샘 44호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관분)에서 1500여년전 ‘신라 행렬도’가 새겨진 토기가 발견됐다. 토기에 새겨진 문양은 행렬이라는 큰 주제아래 기마, 무용, 수렵까지 포함된 복합문양으로 신라 회화 관련 자료 중 최초로 확인된 사례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16일 2014년부터 진행 중인 쪽샘 44호 무덤에서 신라행렬도가 새겨진 토기와 말 문양이 새겨진 토기, 제사와 관련된 유물 110여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소에 따르면 행렬도가 새겨진 토기는 44호 호석 북쪽에서 파손된 상태로 발견됐다.
높이 약 40cm의 긴목항아리(장경호, 長頸壺)로 추정되며, 그릇 곳곳에 다양한 문양이 새겨져 있다. 토기에 새겨진 문양은 크게 4단으로 구성됐다. 1단과 2단, 4단에는 기하학적인 문양이 반복돼 있고, 3단에는 기마·무용·수렵하는 다양한 사람과 사슴·멧돼지·말·개 등 동물들이 연속으로 표현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문양 전체 구성으로 보아 행렬도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출토 정황상 제사용 토기로 제작돼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복식과 인물묘사, 동물묘사 등 내용 구성이 풍부하고 회화성이 우수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그림과 연관된 유물 가운데 행렬도 형태로는 처음 발견된 토기의 각종 표현들은 고구려 무용총 등 고분벽화의 행렬도, 수렵도 등의 내용 구성과 비슷한 측면이 많아 당시 신라·고구려의 대외관계 연구에도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이와는 별도로 말 문양은 발형기대(그릇 받침대) 다리 부분으로 추정되는 토기 조각 2점에서 확인됐다. 말이 새겨진 문양은 모두 2개체로 말 갈기, 발굽, 관절뿐만 아니라 갑옷을 입은 모습까지 상세하게 묘사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소 측은 “현재까지 발견된 고대 토기에 새겨진 말 문양 중 회화 표현이 가장 우수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44호 호석 주변에서 큰항아리(대호·大壺)를 포함한 다양한 기종의 제사 유물이 110여점 발견됐다. 9점의 대호는 호석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됐고, 내부와 외부에서 굽다리접시(고배·高杯), 뚜껑 접시(개배·蓋杯), 토제악기(토제훈·土製壎), 토제방울(토령·土鈴) 등 소형 토기들이 확인됐다.
조사 결과, 큰항아리와 제기류는 시차를 두고 몇 회에 걸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재발굴된 서봉총, 금령총 등에서 호석을 따라 제기와 큰항아리들을 묻은 흔적들이 발견된 바 있지만 44호분에서는 이 같은 흔적들이 광범위하게 확인된 것이다.
연구소 측은 이번 발굴로 적석목곽묘 호석 주변에서 이뤄진 제사의 양상과 내용에 대한 양질의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신라 행렬도 토기가 발견된 44호분은 지난 2014년 4월 개관한 쪽샘유물발굴관 내 고분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44호 발굴조사를 통해 신라 적석목곽묘 구조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확보해 나가고 있는 중이다. 앞으로 고고학적 조사뿐만 아니라 지질학·토목공학 등 학제 간 융복합 연구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