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항 명칭을 ‘경주·포항공항’ 또는 ‘포항·경주공항’으로 변경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한 조례안이 경주시의회 임시회에 상정돼 통과여부가 주목된다. <사진> 경주시가 경주와 최인접한 포항공항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을 추진하기로 한 것. 매년 적자 운영되고 있는 포항공항의 활성화를 위한다는 취지다. 특히 경주시는 현재 포항공항 명칭에 경주를 넣어 ‘경주·포항공항’ 또는 ‘포항·경주공항’으로 명칭을 변경하는데 무게를 두고 있다. 경주시는 지난 10일 경주시의회 경제도시위원회 간담회에서 ‘경주시 포항지역공항 활성화 위한 재정지원 조례안’에 대해 보고했다. 조례제정 이유로 포항공항에서 취항하는 항공운송사업자의 재정적 손실을 일부 지원해 시민에게 교통편의를 제공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경주시에 따르면 연간 1억원을 포항공항에 취항하는 항공사에 지원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포항공항 명칭에 경주를 넣어 변경을 추진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조례안에 따르면 재정지원 대상은 포항지역 내 공항을 이용해 국내노선에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항공사업자다.  재정지원은 포항공항에 운항하는 항공기의 연평균 탑승률이 손익분기점에 미달될 경우 예산 범위 내에서 결손금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시에 따르면 현재 경북도와 포항시는 탑승률 70% 이하일 경우 손실액의 70%를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간 경북도가 3억원, 포항시가 7억원 등 총 1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경주시는 포항시가 매년 부담하고 있는 7억원 중 1억원의 재정지원을 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포항공항은 지난해 117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등 만성적자 운영 중인데다가 지난해 12월 에어포항이 경영난으로 김포-포항 노선의 운항을 중단한 바 있다. 현재 대한항공이 포항-김포 간 1일 2회 운항 중이지만 전체 연평균 탑승률은 40%로 저조한 편이다. 또한 KTX 신경주역과 최근 포항역 개통으로 이용객이 감소하고, 경주시민 역시 포항공항 이용이 거의 없다. 다만 지난 16일 대한항공이 포항-제주 노선 운항을 10개월 만에 재개한 것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 같은 이유로 이날 간담회에서는 경주시의 포항공항 재정지원에 대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대다수 시의원들은 경주시의 재정지원으로 포항공항 활성화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관광객 유입 등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경주시는 경주지역에 공항이 없어 국내외 관광객 유입을 위해서는 현실에 맞게끔 포항공항에 경주 명칭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주시 관계자는 “포항공항의 명칭변경을 통해 공항이용 활성화와 관광도시 경주의 관광객 유치증대로 경주와 포항의 상생협력을 도모하는 것”이라며 “포항공항에 경주 명칭이 포함되면 경주에도 공항이 있는 것으로 인식됨에 따라 국내외 관광객들의 유입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경주시는 19일부터 26일까지 열리는 제245회 시의회 임시회에 이번 조례안을 상정했으며, 20일 경제도시위원회에서 심의가 이뤄진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