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충렬왕 7년(1281)부터 1910년까지 630년간 경주부에 부임한 관리들의 명단을 기록한 ‘경주부사선생안’(慶州府司先生案)이 보물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지난 28일 경주부사선생안을 비롯해 경상도영주제명기, 재조본 대승법계무차별론 등 고려~조선 시대 전적류 3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경주부사선생안은 1523년(중종 18년) 경주부의 호장(戶長) 김다경이 편찬한 구안(舊案)과 1741년(영조 17년) 이정신 등이 작성한 신안(新案) 등 2종 2책으로 구성된다. 구안은 1361년(고려 공민왕 10년)에 작성된 고려시대 선생안 ‘경주사 수호장 행안’(慶州司首戶長行案)을 바탕으로 편찬했고, 신안은 1910년까지 경주부사를 역임한 인물들을 추가로 기록했다.
선생안은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 각 기관이 전임 관원의 성명·관직명·출생시기·본관 등을 적어놓은 책이다. 작성 시기를 기준으로 등재 인물이 현임자의 전임자라는 데서 선생안이라는 이름이 붙게 됐다. 고려시대 선생안 내용이 반영된 현존 최고(最古) 선생안인 구안에는 1281년 호장 김성비부터 1713년 임명된 최준위까지 경주부 관리를 수록했다.
신안은 1628년 경주부에 부임한 이인부터 1910년 호장을 지낸 최병교까지 명단을 추가로 기록했다. 경주부사선생안은 고려 말~20세기 초에 이르는 약 630년(1281~1910) 동안 경주에 부임한 호장들의 명단을 망라하고 있다. 호장마다 직함과 이름 아래에 4대조의 이름, 관인을 받은 날짜, 대궐에 숙배한 사실, 관복 하사 등 내용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경주부사선생안은 제작 시기가 이르고, 역사적 완결성을 갖췄으며, 조선왕실 의궤에 버금가는 장정과 크기를 지녔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또 다른 관리 명단을 기록한 경상도영주제명기는 1078년 중앙에서 파견한 이제원을 필두로 경상도 관찰사 명단을 적은 책이다. 조선 초기 문신인 하연이 1426년 처음 제작했고, 이후 몇 차례 기록을 추가했다.
하연이 만든 유물은 국립경주박물관에 ‘당하제명기`(棠下題名記)’라는 표제로 보관돼 있다. 이 책을 바탕으로 김지남이 1622년 편찬한 또 다른 자료는 상주박물관에 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역대 관리들의 명단인 ‘선생안’이 보물로서 지정 가치를 인정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선생안은 15세기 최초로 제작된 이후 19세기까지 추가돼 자료의 연속성이 있을 뿐 아니라, 현존하는 선생안 중 시기적으로 가장 빠르고 내용과 형태적으로도 가장 완형(完形)에 가깝다는 점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또 “선생안은 전국적으로 많이 남아 있어 현황 파악이 어려웠으나, 학계 연구가 진척되면서 새롭게 가치를 조명받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함께 보물로 지정 예고된 재조본(再雕本) 대승법계무차별론은 1244년 목판을 새긴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찍은 책으로, 인출 시기는 고려시대 후기 혹은 조선시대 초기로 추정된다. 재조본은 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재조대장경으로 편찬한 책이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예고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 지정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