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지역 시민·정당·사회단체들이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에 반발,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선언했다.  경주겨레하나 등 지역 11개 단체는 지난 9일 경주시청 브리핑실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에 경제보복 조치 즉각 중단과 위안부 및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사죄와 배상을 촉구했다.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이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선포한 것은 경북도내에서는 경주가 처음이다. 이들은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와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로 온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며 “대한민국 국민의 한사람이자 민주시민으로서 일본 정부의 반인권, 비도덕적, 반평화적인 행위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며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 정부는 당장 경제보복 조치를 멈추고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 진심어린 사과와 피해보상을 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또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을 위한 행위를 즉각 멈출 것”을 요구하며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시작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걸고 투쟁할 것을 선포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지난 4일부터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 3개 품목에 대해 수출 통제를 시작했다. 한국 수출이 제한되는 3개 품목은 텔레비전과 스마트폰의 유기이엘(EL) 디스플레이 부품으로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반도체 제조 과정에 필요한 레지스트와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등이다. 이들 품목의 한국 수출은 그동안 포괄적 허가 대상이었지만, 이번 수출통제로 90일 정도 걸리는 개별적인 수출 허가 심사를 거쳐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