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면 표고버섯 시설재배로 연중 안정생산 우리가 가장 많이 먹는 버섯중 하나로 담자균류 느타리과 잣버섯속 혹은 송이과 표고속으로 분류되는 표고버섯. 동아시아로부터 동남 아시아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남반구의 뉴기니 및 뉴질랜드 등에도 자생하는 표고버섯이 우리나라에서 건강학적으로나 영향학적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진 것은 불과 20년 안팎이다. 하지만 청정한 자연을 자랑하는 경주에서는 서면지역이 최근 표고버섯 대단지로 자리잡고 있다. 노지 재배로 인해 연중 생산이 불가능했던 표고버섯이 시설재배로 인해 연중 생산체제에 돌입, 이제는 겨울철에도 표고버섯의 참 맛을 볼 수가 있게 됐다. 건천 양송이 버섯의 명성에 밀려 이름조차 알리지 못했던 서면지역의 표고버섯은 지난 95년 시설재배의 확대로 이제는 다양한 품종 생산으로 서면지역의 대표 특산물로 자리잡고 있다. 현재 경주지역에서는 서면을 비롯한 건천, 산내, 내남, 안강지역에서 생산되고는 있지만 서면지역이 최대 생산지다. 서면의 버섯 재배조건은 다른 지역보다 일교차가 크고 청정지역으로 표고버섯 품질이 뛰어나 출하과정에서도 다른 지역의 버섯보다 비싼 가격으로 유통되고 있다. 또한 기상재해로 인한 가격 폭락을 방지하기 위해 농가마다 저온시설을 확충, 가격추이를 맞추고 있다. 이러한 특징 속에 서면 표고버섯은 양송이 버섯과 함께 `경주의 대표 농산물`로 자리잡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