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를 맞아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노인교통사망사고도 계속 증가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경주지역에서 발생한 노인교통사망사고 대부분이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세밀하고 실천적인 교통사고 예방대책에 요구된다. 경찰청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8년 교통사고 통계자료에 따르면 경주지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건수는 2018년 1626건으로 2017년 1675건 대비 49건 감소했다. 하지만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수는 45명으로 2017년 43명에 비해 2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망자 가운데 70대 이상 고령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돼 노인교통사망사고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작년 교통사고 사망자 45명 중 71세 이상 고령자가 18명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했다. 이어 51~60세 9명, 65~70세 7명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기준인 65세 이상이 25명이나 된다. 다음으로 41~50세 6명, 21~30세 2명, 15~20세 1명, 31~40세 1명, 기타 1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또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의 연령별 사망사고 통계를 보면 71세 이상 6명, 65~70세 5명 등 11명이 고령운전자로 사망사고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총 45명 가해운전자 중 24.4%로 향후 지역 내에서도 고령운전자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해졌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주목할 부문은 교통사고가 4월, 금요일, 오후 2시~4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지역은 7번국도가 있는 외동읍이 5건이며, 내남면 4건, 강동면 4건, 감포읍 3건, 성건동·천군동·안강읍·마동 각각 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분석에 따른 경주지역 교통사고 밀집지역은 경주역, 부용당한의원 인근, 선덕네거리, 동대네거리, 경주교, 계림중네거리, 용강네거리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결과를 보면 운전에 대한 개인적 저하로 인한 사고와 항상 교통사고가 우려되는 시기에, 지점에서 계속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주지역은 작년 상반기 교통사망사고 중에서 노인들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제 노인운전자 일으킨 교통사망사고뿐만 아니라 각종 교통사고로 인한 노인들의 사망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운전자 중에는 운전능력이 점점 떨어지거나 작은 충격에도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신체특성 때문에 작은 사고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노인들에 대한 교통안전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교통사고 요주의 지역에 대한 시설보완, 홍보강화 등을 서둘러 시행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