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국민권익위원회가 실시하는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최하위권에 머물렀던 경주시가 경북도의 특정감사 강화 자치단체로 분류된 것은 자업자득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경북도는 도민이 안전한 경북실현을 위해 국민권익위원회 외부청렴도 측정결과에 따라 대형건설공사장의 특정감사를 면제 또는 강화하기로 했으며, 이 가운데 외부청렴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아 온 경주시에 대해서는 특정감사를 더욱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에 대상이 된 경주시와 영천시, 문경시 등 하위 5개 시군에 대해서는 감사기간 연장, 현장관계자 면담 및 청렴교육 실시 등 토착비리 예방을 위한 강화된 특정감사를 받게 됐다. 도는 대상 시군에 대해 건설분야 특정감사 강화방안으로 도(사업소 포함) 직접시행 사업장에 대한 기동감찰 실시, 일상감사 및 원가심사 사업에 대한 성과감사 등 사후관리 강화, 청렴 및 안전경북 실현을 위한 찾아가는 현장교육을 확대·시행하게 된다. 도의 이 같은 조치는 결국 경주시의 행정수행에 대한 신뢰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행정에 대한 대외 신뢰도도 크게 떨어졌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받아 들여야 한다고 본다. 시는 지난 수년간 국민권익위원에서 실시하는 외부·내부청렴도 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으면서 대외 신뢰도는 크게 추락했다. 시는 2018년도 시군 외부청렴도 측정결과 최하인 5등급을 받았다. 시는 그동안 청렴도 향상을 위해 자체결의대회 개최, 외부강사 초청 의식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가동했지만 좀처럼 청렴도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급기야 주낙영 시장도 올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청렴도 제고를 위해 강도 높은 추진을 천명하고 시민들의 신뢰를 확보하는데 주력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번 경북도의 경주시에 대한 특정감사 강화에 대해 직시해야 할 것은 행정의 신뢰도가 곧 경주시의 대외이미지와 경주시민들의 삶의 질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한 번 청렴도가 떨어지면 두고두고 의심을 받게 된다. 시는 이번 경북도의 특정감사 강화 조치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각성하고, 투명하고 공정한 업무처리와 소통과 화합의 행정을 수행해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진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