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출토 신라 시대 유리잔이 온전한 형태로 복원됐다.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경주 황남대총 남분 출토 국보 제193호 유리잔을 새롭게 보존 처리해 지난달 29일부터 신라실에서 공개했다. 이번에 새롭게 보존 처리한 유리잔은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에 위치하는 황남대총 남분에서 1973년 출토된 것으로 학술 가치를 인정받아 1978년 국보 제193호로 지정된 총 4점의 유리잔 중 하나다. 이 유리잔은 발굴 직후 파손된 편들을 접합하고 결실부는 복원하지 않은 채 최근까지 전시됐으나 유리잔의 형태를 지탱하고 있던 접합제가 오랜 시간이 지나 약화돼 안정성 우려 및 미관상 보기 좋게 새롭게 보존처리 됐다. 파손된 편들을 재접합하고 결실부를 복원해 발굴 이후 처음으로 완형을 갖추게 된 유리잔은 보존처리 전 형태와 비교해 동체부와 높이가 조금 넓어지고 낮아지는 변화를 보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측은 “지난해 9월 27일부터 올해 2월 20일까지 실시한 이번 보존처리에서 황남대총 출토 유리제 편 2개를 찾아 유리잔에 포함한 것이 작은 성과”라면서 “접합 및 복원 재료에 대한 물성실험을 통해 물리적 안정성 및 내황변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미경 촬영, 3차원 측정, 컴퓨터 단층촬영기(CT) 조사로 그 특징과 제작기법에 관한 자료를 확보했다”면서 보존처리 및 과학적 조사 내역을 설명했다. 또 “유리잔은 속이 빈 불대의 한쪽 끝에 유리액을 묻힌 후 입으로 불어서 형태를 만들었다”면서 “유리 띠를 덧대거나 입술을 둥글게 말아 제작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초기 비잔틴 시기 지중해 동부 연안에 있는 팔레스타인과 북쪽 시리아 지역에서 만든 것이 실크로드를 따라 신라에까지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