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경주시가 지방소멸과 인구위기에 따른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해 전문가의 의견에 귀기울이고 있다. 경주시는 지난 25일 인구 정책 발굴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경주가 소멸위험지역에 선정되고 합계출산율 ‘0’명대로 떨어지는 등 인구감소에 따른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9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먼저 김수연 서울대인구정책연구센터 연구원이 ‘인구 변화에 대응하는 지자체 인구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로 의견을 제시했다. 김 연구원은 출생자 수가 50년 사이 70% 가까이 줄어들었다며 인구 변화에 따른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70년 출산인구 100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지난해 출산 인구 32만명으로 출생자 수가 70년 이후 70% 가까이 감소했다”면서 “인구 변화는 4인 가구 감소, 1인 가구 증가 등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속적인 인구 감소에도 현재의 정책은 과거에 머물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 예로 학생 감소와 교원의 증가를 제시했다. 그는 “1970년대 학생 765만명에 교사 15만이었던 수가 지난 2016년 학생 588만명으로 줄어들었지만 교사 수는 43만명으로 오히려 증가하는 엇박자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구 감소에도 대도시로 인구는 집중되고 중소도시는 사라질 것이라면서 올바른 출산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30년 내에 84개 시군이 사리질 것으로 예상되고 전체 인구의 80% 이상이 전국 도시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출산은 오를 수 있다는 환상에서 깨는 것이 중요하다. 인구 변동에 대한 정책 방향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송작가 겸 스토리 작가로 활동하며 경주 관련 책을 집필한 이소윤 작가는 지역에 스토리를 입히고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작가는 “인구감소에도 인제 냇강마을에는 출향인 한사람이 마을을 살려내고 인구도 증가하는 사례가 있다. 결국 인구는 정책이 아닌 사람이 중요하다”면서 “지역에도 스토리를 만들고 권역별로 전문가 양성을 통해 컨텐츠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토리와 전문가는 시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주면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경주신문 이성주 편집국장은 일자리 부족과 배타적·폐쇄적 사회 환경, 교육 여건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구 감소가 가속화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국장은 “지난해 인구감소 요인 중 자연감소가 93%에 달했다”면서 “초고령사회인 경주 인구 감소는 더욱 심각해 질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경주시 인구감소의 현실을 받아 들이고 이를 통해 실천 가능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면서 “지역사회 내 배타적 분위기 해소, 중요 국책사업 및 현안에 대한 지도층의 결단력, 취업·결혼·출산에 대한 긍정적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한 세대 간 소통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동국대 김신재 교수는 지역 대학 활성화와 졸업생의 지역 정착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대학 재학생 상당수가 타지역 학생으로 졸업 후 경주에 정착할 때 경주의 미래는 밝다”면서 “재학생 주소 이전 추진과 졸업 후 경주 정착을 돕는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졸업생을 경주에 머무르게 한다면 지속발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것이다”고 말했다. 민간창업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박희광 대표는 인구문제는 교육에 답이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경주는 아직 고교비평준화 지역으로 교육문제로 경주를 떠나는 인구가 많다”면서 “다양한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창의적 교육을 필요하며 대안학교 설립 등으로 교육 환경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남 금산에는 대안학교 4곳 설립되면서 인구가 증가와 직업도 생겨났다”면서 “획일화된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교육 시스템으로 인구 증가의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인구정책 발굴 심포지엄 등 8차에 걸친 인구정책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인구증가와 인구감소 시대를 대비한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경주시 이상기 미래사업추진단장은 “그동안 인구정책 마련을 위한 다양한 논의에서 제시된 사항은 관련 부서와 협의를 통해 정책으로 반영할 계획이다”면서 “지자체에서 인구 정책을 만드는데 한계가 있지만 인구정책을 단순히 인구증가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인구 감소시대에 맞게 조례 제정 등 다양한 정책의 변화와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