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는 지난 8일 동천동 한 치킨집에서 인구 정책의견 수렴을 위한 ‘40~50대의 미래변화 대비 인구토크(Talk)’를 개최했다.이날 김진태 경주시 시민행정국장과 오창섭 서라벌대 교수(사회복지학과), 시청직원 등 20여명이 참석해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토크를 진행했다.이날 참석자들은 현재 초고령 사회에서 퇴직 후 미래에 대한 자신의 생각들을 말했다.관심 키워드로는 워라밸, 평생현역, 재취업, 공동체, 전문 취미개발, 사회공헌 등이 논의됐다.정모(여·53) 씨는 “2030세대를 위한 지원을 현재 4050세대들이 해줘야 한다. 젊은이들이 출산하고 육아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응원하고 격려하며 불편함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노력들을 50대 중년이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박모(여·57) 씨는 “현재 우리사회를 ‘100세 시대’라 하는데 60세 퇴직 후 30~40년의 후반 인생이 기다리고 있다. 이들을 경주로 올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있어야 한다”며 “경주가 옛것이 잘 보존된 힐링 공간이라는 점을 살려 향후 치유나 돌봄이 필요한 이들과 은퇴 후 느림의 미학으로 남은 시간을 보내고 싶어하는 이들의 성지로 특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이날 토크에서는 과다한 자녀교육비·결혼비용 등을 줄이는 노력과 자녀들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자신의 직업을 통해 얻어진 전문성 확보를 통해 다음 세대들을 위한 사회공헌 등 여러 가지 경주시 인구정책을 위한 의견들이 제시됐다.김진태 시민행정국장은 “미래 세대들이 경주에서 결혼·출산·육아가 이뤄지고 중년이 인생 2막을 누리고, 노년에 남은 인생을 편안하고 아름답게 보낼 수 있는 희망경주를 만들 수 있도록 온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한편 경주시는 지난 2월부터 현재까지 7차에 걸쳐 인구정책 발굴을 위해 여러 분야의 시민들과 인구 토크를 진행하고 있다. 오는 25일 마지막 ‘8차 전문가 그룹 자문 인구 토크’를 거친 후 올해 상반기 경주시만의 특화된 로드맵을 짤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