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이 청와대 석불좌상 출토지로 추정되는 이거사(移車寺)터를 발굴·고증 후 불상 이전을 검토하고, 결정한다는 방침이 알려지자 지역사회 내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청와대 석불 경주 귀환을 위한 민관추진위원회가 청와대, 문화재청 등에 조속한 반환을 염원·촉구하는 내용을 담아 전달한 탄원서에 대한 답변으로는 궁색해 보여서다.이거사터 발굴과 고증에는 문화재 특성상 향후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이로 인해 문화재청이 석불좌상의 조속한 경주이전을 원하는 시민들의 바람을 무시하고 있다며 불만이 쏟아지고 있는 것.특히 그동안 국립경주박물관으로 먼저 옮긴 뒤 고증 등을 거쳐 본래 자리로 완전이전을 주장해왔던 시민단체의 요구도 받아들여지지 않아 보다 강도 높은 반환운동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또 일각에서는 지난해 10월 일제강점기 문헌인 ‘신라사적고(新羅寺蹟考)’에서 불상 원위치가 이거사터임을 알려주는 결정적인 내용이 발견됐는데도 문화재청이 고증을 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행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지난 18일 경주시와 경주문화재제자리찾기시민운동본부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청와대 석불 경주 귀환을 위한 민관추진위원회가 지난달 29일 청와대 등에 낸 탄원서에 대해 공문을 통해 답변했다.회신에서 문화재청은 “올해 경주시 주도로 이거사지 발굴 등 학술조사를 실시해 불상 원위치로 추정되는 이거사지에 대해 명확한 고증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고증이 이뤄지면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불상이전을 검토‧결정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또 “고증이 되기 전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전하게 되면 훼손 등이 우려된다”며 “현 위치(청와대 내)에 계속 보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문제는 문화재청의 방침에 따른 석불좌상 경주이전은 발굴, 고증, 검토를 거쳐 최종결정까지 빨라도 1년 이상, 상황에 따라서는 3년 이상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민관추진위원회 관계자에 따르면 먼저 발굴과 고증에는 예측할 수 없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이는 일반적으로 발굴을 위해서는 이거사터 일원 부지를 매입해야 하는데 소유주와의 보상협의, 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변경안 의결 등 행정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또 발굴이 진행되면 중요 문화재 발견 등 또 다른 변수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발굴기간이 더욱 길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그리고 발굴이 완료된다 하더라도 그동안의 관례에 따르면 고증만 하는데도 더욱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주장이다.고증이 완료된다고 해서 끝이 아니다. 문화재청의 회신에 따르면 고증을 토대로 검토 후 최종 결정을 내릴 방침이어서 이 또한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이에 대해 민관추진위 관계자는 “그동안의 문화재 관련 행정경험상으로 부지 매입에 1년 정도 소요될 수 있고, 발굴과정에서 여러 변수와 고증까지 고려하면 3년 이상 걸릴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이렇게 되면 석불좌상 경주이전에 우호적인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끝난 뒤 일수도 있어 청와대 석불좌상의 경주이전이 더욱 힘들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또 “청와대 등에 석불좌상의 조속한 경주 반환을 위한 탄원서 접수만으로는 경주시민의 바람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 같다”면서 “앞으로 청와대 등에서 반환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는 등 보다 강도 높은 반환운동을 벌여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한편 문화재청은 이거사터 조사를 위한 용역비 2억원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지난달 말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경주를 방문했을 때 이거사 터를 둘러봤다.앞서 경주시, 경주시의회, 경주문화재제자리찾기시민운동본부로 구성된 민관추진위는 국회와 청와대, 문화재청에 “하루빨리 불상을 경주로 반환해 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했었다.탄원서에서 “청와대 불상이 나라를 빼앗긴 시대에 천년고도 경주를 떠난 지 100년이 지났다”며 “역사 적폐를 청산하고 불상을 제자리로 모실 수 있도록 청원한다”고 밝혔다.보물 제1977호인 청와대 불상은 그동안 지역 내 본래 자리에 대한 논쟁으로 귀환 논의가 지지부진하다가 신라사적고에서 불상 원위치가 이거사터임을 명시한 내용이 발견돼 반환운동이 재점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