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원전 건설 중단으로 신규 수주가 없는 상황에서 실효성 있는 수준의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원전기업지원센터가 24일 경주 더케이호텔에서 대구·경북지역 원전 협력사를 대상으로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중소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자리에서는 업체들의 불만과 다양한 요구사항 등이 나왔다.
특히 신규원전 계획 백지화, 월성1호기 조기폐쇄 등 후속사업이 없는 상황에서 신규수주가 끊겨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1월 21일 서울, 23일 고리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된 이날 설명회에는 10여개 기업체에서 20여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원전기업지원센터 관계자는 앞서 열린 설명회에서 신고리 원전 5·6호기 사업이 완료돼 더 이상 할 일이 없다는 등의 애로사항이 많았다고 전했다.
대구의 한 원전관련 기업 대표는 “원전건설 백지화 등 에너지정책 전환으로 국내 일감이 끊겨 자금난을 겪고 있다”며 “상황이 이러다보니 직원들도 떠나고 있지만 붙잡을 방법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중소기업 관계자는 “현재 주변 중소기업들이 더 이상 원전산업은 희망이 없다고 판단하고 다른 사업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라며 “어려운 상황일수록 R&D(연구개발) 사업에 더욱 투자를 확대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특히 중소기업의 R&D는 거의 없어져 버렸다”고 말했다.
경산시의 한 업체 상무는 “원전해체 및 R&D 분야와 관련해 중소기업들의 해체산업 진입을 위해 정부와 한수원에서 구체적인 해체기술개발 로드맵과 중소기업이 참여 가능한 기술개발분야에 대해 설명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원전관련 유통 사업을 하고 있는 회사의 대표는 한수원의 높은 입찰 장벽을 완화해 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는 “원전건설 중단 등 탈원전정책에 따른 피해도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무엇보다 입찰조건에 생산증명서를 첨부해야 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으로 중소업체들은 입찰자격 조차 없다”며 “한수원 등이 높은 규제를 완화시켜 중소유통업체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이날 설명회에서 원전기업지원센터는 한수원과 한국전력기술, 한전KPS 등 원자력관련 주요기관과 정부 및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소개했다.
그러나 협력사들은 신한울 3·4호기에 대한 건설이 힘들어 보이는 상황에서 중소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사업을 마련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중장기적 희망을 줄 수 있는 비전과 함께 정부와 한수원이 원전생태계가 무너지지 않도록 방안마련을 주문하기도 했다.
원전기업지원센터 관계자는 “이번 설명회는 국내 원전 중소·협력업체들의 경영상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원전 안전과 수출을 위한 공급망 유지 방안과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금융부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마련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1월 에너지전환에 따른 원전기업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 원자력산업회의 내 원전기업지원센터를 설립했다. 센터는 이번 권역별 설명회를 통해 청취된 애로사항을 토대로 국내 원전 중소·협력업체들의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수립·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