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규모 및 농업생산 경북 1위의 농업도시인 경주에 농어업회의소 신설이 추진되고 있다. 농어업회의소는 2018년 말 기준으로 전국에 광역 2개소, 28개의 시군에서 운영 및 설립 추진 중에 있다. 농어업회의소는 농업계의 권익 및 실익을 대변하는 민간자율 대의기구로 민선 7기 주낙영 경주시장의 공약사업이기도 하다. 경주시는 지난해 9월 농림축산식품부 농어업회의소 설립 시범사업에 선정돼 올해 상반기 농어업회의소 여론 청취 및 권역별 순회 설명회를 준비하고 있다. 경북 농업 1위 도시인 경주에 이제야 추진된다는 것에 대해 늦은 감이 있다는 여론이 있지만 농어민을 대변하는 농어업회의소에 대한 기대는 크다. 먼저 경주시 농어업회의소가 신설되면 법률에 근거한 공적기구로 조사연구, 교육훈련 등 공적서비스를 지역의 농어민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 현장의 목소리를 행정에 반영시키는 소통의 창구 역할과 농어업계의 보편적이고 공익적 목표와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주시에 따르면 농어민의 자율에 따라 운영되는 농어업회의소는 2500명 정도의 개인회원을 목표로 잡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회원이 부담하는 회비는 월 2000~5000원 수준. 이밖에 농어업인 단체 및 농협 등도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해 경주 농어업을 대표하는 기구로 만들 예정이다. 반면 농어업회의소 신설에 따라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지역의 전체 농어업인단체들을 대표하는 ‘대표성’ 확보와 농어업 관련 전문 인력 확보, 전문성 강화 등이 필요하다. 또 농어업회의소가 농어업 관련 예산, 정책 방향 등 전반적인 권한을 가질 경우 한농연, 한우·한돈협회, 수산업경영인회 등 기존 조직 및 단체들과의 마찰도 우려돼 사전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경주의 한 농민단체 관계자는 “몇 가지 해결해야 될 문제점이 있지만 농어업회의소 설립까진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서 “농어업회의소에 대해 농어민들이 전반적으로 공감하고 있는 부분인 만큼 농어업 현장의 목소리가 잘 전달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어 “경북 1위 농업도시 경주에 이제야 설립된다는 것이 늦은 감이 있다”며 “앞으로 전문 인력 양성 및 발굴, 농어민단체 간 사전 조율 등을 통해 경주의 농어업을 위한 올바른 기구가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에 따르면 경주에는 2017년 말 기준 4만2000여 명이 농어업에 종사하고 있고 총 1조844억원을 생산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