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분할에관하여 중립구도를 만드는 전통적 방식 중의 한 가지는 황금 분할비를 이용하는 것이다. 황금분할이란 화면을 약 3:2로 분할하는 것을 말하는데,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1.616:1로 분할하는 것이다. 이러한 황금분할에서는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이 힘을 겨루지만 큰 부분이 작은 부분을 압도하지는 못한다. 이 두 부분이 만나는 분할선은 분명히 어느 한 쪽이 더 강하게 당기고 있지만 화면의 어느 쪽 자성에도 쉽게 굴복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안정구도보다 그래픽 에너지가 더 커지고, 안정감은 덜하지만, 그래도 균형 을 유지하고 있는 구도가 된다. 이 황금분할비를 움직이는 영상 즉 동영상(moving image)에는 적용하기 어렵지만 정적인 샷이나 스틸샷을 잡거나 타이틀을 디자인할 때는 대단히 중요하다. * 심리적 클로저와 그래픽큐 심리적 클로우저 우리의 지각기능은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을 정돈하고 정보의 부족한 부분을 매워 하나의 완전한 형태로 만들려고 하는 경향이있다. 이러한 지각기능의 특성을 심리적 클로우저 혹은 간단히 클로우저 라고 하기도 한다. 심리적 클러우저의 3원칙 인접성(proximity)의 원칙 유사성(similarity)의 원칙 연속성(continuity)의 원칙 그래픽 큐 화면에 물체나 사람의 일부분만을 보여줄 때, 우리는 시청자들이 쉽게 클로우저를 적용하여 그 물체의 전부를 지각할 수 있도록 구도를 잡아야 한다. 이것은 화면내의 그래픽 벡터가 화면 밖으로 자연스럽게 연장되어 심리적 클로우저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그래픽 벡터를 연장할 수 있는 단서인 그래픽 큐 가 있어야 한다. * 그래픽무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무겁다: 크기는 크고, 형태는 단순하고 기하학적으로 조밀하다. 방향은 수직이며 위치는 모서리, 화면의 오른쪽, 화면의 상단 색상은 따뜻한 색 채도는 높다, 명도는 낮다. 가볍다: 크기는 작다, 형태는 일정하지 않고 조밀하지 않다 방향은 수평이며 위치는 중심, 화면의 왼쪽, 화면의 하단, 색상은 차가운 색상, 채도는 낮다, 명도는 높다. * 화면의 깊이를 나타내는 요소 면의 중첩, 상대적인 크기, 화면상의 높이, 선상원근법, 공기원근법, 군집효과 * 시간의 종류와 개념설명 시간의 종류 우리는 시계로 알 수 있는 시간과 우리가 느끼는 시간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누구나 단 몇 분이 몇 시간보다 더 길게 느껴지고 몇 시간이 몇 초 보다 더 빨리 지나가는 듯한 느낌을 느껴 보았을 것이다. 이러한 우리의 경험으로 미루어보아 분명 우리가 느끼는 시간은 시계로 측정하는 시간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시계로 측정하는 시간을 시계시간 혹은 객관적 시간 이라고 하고 우리가 느끼는 시간을 주관적 시간 혹은 심리적 시간 이라고 하며 우리의 신체기능을 조절하고 긴장감이나 피로감을 느끼게 만드는 시간을 생리적 시간 이라고 한다. 일주기성 비동기 그러나 만일 갑자기 생활습관을 바꾸면 생리적 습관이 따라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해외여행을 할 때 시차에 적응하기 어려운 것은 바로 이러한 갑작스런 생활습관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생리적 시간의 혼돈을 일주기성 비동기라고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