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축산 규모 비해 전문성·인력 부족
각 지방자치단체가 지역특성에 맞는 조직구조를 갖추고 있는 가운데 방대한 경주시 축산업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축산과의 재 신설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지역 축산인들은 축산과 관련된 민원 해결과 외·내적으로 불고 있는 축산 파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담당 공무원의 증원과 함께 적시적소의 인원 배치를 요구하고 있다.
▶구조조정대상으로=기존 축산과가 구조조정 바람으로 수산과와 통합되어 축수산과가 생긴 것은 98년 11월 14일, 당시 시의회와 논의 과정에서 농촌지역 시의원들의 반발이 있었으나 세력 싸움에 밀려 통합됐다.
경주시 한 관계자는 "업무가 다른 2개 과의 통합은 결국 기능을 약화시켜 효율적인 축산업무를 수행하는데 문제점이 되어 왔다"며 "경주의 축산 현실을 우선 생각하는 조직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주축산의 규모=지난해 말 기준에서만 보더라도 경주의 축산 규모는 전국 상위 그룹에 속한다. 한우의 경우 6천29농가에 4만151두로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젖소, 돼지가 도내 1위, 닭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주 축산업의 생산량은 농산물 총생산량 5천639억원의 43%를 차지하는 2천446억원에 달해 경주시 농촌의 주 소득원이 되고 있다.
▶경주시 축산업무의 현 주소=지난 98년 구조 조정된 후 몇 차례의 축산과 신설에 대한 건의는 있었으나 실행에 들어가지 못했다.
특히 2000년 구제역 파동과 2001년 말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돼지콜레라가 수시로 발생해 지역의 축산농가들이 내홍을 겪고 있는 가운데 올해부터 생우 수입이 본격화되면서 탄력적이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러나 현재 경주시의 축산업무 담당자(축산직)들은 8명에 불과하며 읍·면·동 지역의 경우 행정(22명)·세무(2명)·농업직(1명)이 축산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전문성 결여로 축산 민원 해결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타 자치단체의 사례=현재 전국 자치단체 중 축산과가 있는 지역은 경기도의 안성시와 이천시, 강원도 평창군, 경남 고성군 등 10여 곳이며 경북도내에서는 읍·면 단위로 축산직을 배치해 둔 시·군은 영천시와 군위군이 있다.
인근 포항시의 경우는 축산 규모가 경주에 비해 뒤지지만 13명의 축산직 공무원들이 있다.
▶지역 축산인들의 요구는=이들의 최우선 바람은 축산과의 독립이다. 그리고 도내 초지면적 1위(456ha)인 경주에 구조조정으로 폐지됐던 초지사료담당을 부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현재 읍·면·동 지역에 비 축산직 공무원들이 축산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축산민원 해결이 어려운 실정이므로 축산규모가 큰 안강, 건천, 외동읍과 서면, 현곡, 천북면 지역에 축산직 공무원의 배치를 요구하고 있다.
▶축산과 재 신설 가능한가=현재 규정으로서는 타 과를 통합하지 않고서는 축수산과에서 축산과를 떼어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경주시 한 관계자는 "인구 30만 미만의 경주시세로서는 실·과·담당관의 설치수가 20개 이내로 제한되어 있어 타 과를 통합하지 않고서는 현실적으로 축산과의 신설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그러나 표준정원제가 시행되고 기구 등이 확대되면 검토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