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용불구 안전성 확보 미흡, 코스 안내지도 부족
동국대 지역정책연구소·경주 경실련 토론회
경주지역의 자전거 관광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자전거 관련 업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동국대 지역정책연구소와 경주경실련은 지난 1일 상공회의소에서 `자전거 관광을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고 설문조사를 토대로 경주시 자전거 도로의 문제점과 다양한 개선책을 제시했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경주시의 기존 자전거 도로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는 △안전시설 미비(38.6%) △노면상태가 고르지 못함(18.8%) △자전거 도로간 연계성 부족(14.9%) 순이며 자전거 이용 시 가장 불편한 사항으로는 △배기가스 소음먼지(25.7%) △도로의 부족(23.8%) △자전거를 처음 대여점에서 반납하여야 하는 점(15.8%) 순으로 나타났다.
또 자전거 이용 증진을 위한 개선점으로 안전성 확보, 코스의 다양화, 홍보교육의 확충, 자전거 이벤트와 축제의 개발을 자전거 이용 시 가장 필요한 정보나 시설에는 노선도면이나 지도, 안전표지판, 자전거 보관대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기반시설 측면에서는 △자전거 도로의 확충과 코스의 다변화 △경주도심지역의 역사유적 탐방을 주제로 한 자전거 도로의 계획 △안전시설 구축 △자전거 전용 차선의 설치 등이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자전거 도로와 자전거 관련 업무를 체계적이면서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경주시 전체 자전거 코스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관광지도 제작 △코스의 다변화와 함께 풍부한 볼거리와 이벤트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자전거 관광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경주시가 조례를 통하여 독자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영역부터 입법 개정을 위한 노력까지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정책의 독립성 확보를 위한 법적 장치로 관계 심의위원회의 역할을 강화하고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유인책으로 세제 및 금융상의 혜택, 자전거 대여업의 활성화, 자전거 관련 공무원의 전문성 확보를, 안전대책 확보를 위한 법적 장치로는 자전거 안전기준 정비와 자동차 규제, 자전거 통행권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